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로자 아줌마는 환하게 웃었다. 이제 이빨도 거의 없었다. 미소라도 지어야 아줌마는 평소보다 덜 늙어보이고 덜 미워 보였다. 그녀의 미소에는 젊은 시절의 아름다움을 상기시켜주는 무엇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그녀는 유태인 대학살 전인 열다섯 살 적 사진을 한 장 가지고 있었는데, 그 사진의 주인공이 오늘날의 로자 아줌마가 되었다는 사실을 믿을 수가 없었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지금의 로자 아줌마가 열다섯 살의 사진 속 주인공이었다는 사실 역시 믿기 어려운 일이다. 그들은 서로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들처럼 보였다. 열다섯 살 때의 로자 아줌마는 아름다운 다갈색 머리를 하고 마치 앞날이 행복하기만 하리라는 듯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열다섯 살의 그녀와 지금의 그녀를 비교하다보면 속이 상해서 배가 다 아플 지경이었다. 생이 그녀를 파괴한 것이다. 나는 수차례 거울 앞에 서서 생이 나를 짓밟고 지나가면 나는 어떤 보습으로 변할까를 상상했다. 손가락을 입에 넣어 양쪽으로 입을 벌리고 잔뜩 찡그려가며 생각했다. 이런 모습일까? (147-148).

우리는 모두 미래를 두려워한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불투명한 미래가 불행한 현재가 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불안한 미래의 예감은 조금씩 늘어나는 현재의 시름으로 점차 확신이 되어가고, 우리 겁쟁이들은 못견딜 것 같은 두려움에 현실로부터 도망치거나 애착을 가질 무언가를 찾아 마음 속의 욕망을 쏟아붇곤 한다.

 

그래도 죽기는 싫다. 우리는 살고 싶어한다. 하룻밤을 자고 일어나면 닥쳐오는 또다른 삶이란 사실 진지하게 생각해보면 엄청나게 부담스럽고 두렵고 심지어 혐오스러울 정도의 무게를 우리 위에 지우지만, 그래도 우리는 매일 우리를 찾아오는 생을 맞이하고, 또한 마주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용기가 필요하다.

 

희망도 좋지만, 희망은 언제나 우리를 배신하기 일쑤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스스로를 속이는 갸냘픈 희망보단 우리가 쓰러지지 않게 해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불행한 이들이 서로를 감싸고 사랑하고 보듬으며 더욱 불행해져가는 이 이야기는 그 용기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삶을 마주하는 용기는 사랑, 아니 그보다 좀 더 솔직히 말하면 다른 사람을 향한, 그리고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애정이라는, 어쩌면 간지러운, 하지만 누군가의 어깨를 빌려본 사람이라면 반드시 공감했던 순간이 있을, 당연하고도 소중한 삶의 진실을 이 소설은 보여준다. 나에겐 내가 사랑할, 그리고 나를 사랑해줄 누군가가 필요하다.

 

끝으로, '자기 앞의 생'이란 제목은 별로다. '내 앞의 삶', 아니 차라리 '우리 앞의 삶'이라고 번역한다면 더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