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과 시작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시선집 대산세계문학총서 62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지음, 최성은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에 전화벨이 울린다. 그림 속의 왕들은 나라를 다스렸을 모르지만 전화를 받을 없다. 대리석으로 영원히 남겨진 영웅들은 굳어버린 손을 뻗어 전화를 받지 못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반응' 익숙한 예술품들에게 잘못 전화를 어떤 인간, '하지만 그는 엄연히 살아 있다, 그래서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다'(실수) 시인은 미술관에 갔다가 우연히 잘못 걸린 전화벨소리를 듣고 시를 떠올렸을지도 모른다.


시는 그런 것이다. '평범하다' 쉽게 얘기하는 일상의 순간이 모두 시다


우연히 깨어난 새벽 시는 '삼십대를 위한 시간'이자 '다른 모든 시간의 바닥' 된다.(새벽

가족 사진첩을 보며 그들이 무심한 세월 극적인 사건 없이 '결국 감기에 걸려 죽었다' 보통의 인간들을 조명한다.(사진첩

'이제는 내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수많은 나날 하나.'(1973 5 16


평범하다고 말하기조차 평범한 어떤 하루를 호명하며 시인은 시를 쓴다. 우주의 모든 날들을, 60억명의 모든 인간들을 시로 적지 못한 윤리적인 책임감에 시달리며.

 

지구상에 존재하는 60억의 사람들.

상상력은 그랬듯이 언제나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거대한 숫자는 감당하지 못하고,

사소하고, 개별적인 것에 감동을 느낀다.

어둠 속에서 손전등 불빛처럼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가장 앞줄에 있는 얼굴들만 닥치는 대로 비추곤 한다.

그럴 뒷줄에 있는 나머지 얼굴들은 모조리 생략되고 만다.

기억 속에서도, 회한 속에서도 그들은 영원 속으로 도태되고 만다.

-<거대한 숫자>중에서

 

'내가 동시에 모든 곳에 존재할 없음을'(작은 아래서통감하는 시인은 역사가 쉽게 저지르는 잘못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는데, 전쟁이나 강제 수용소의 수많은 죽음을 숫자 하나로 뭉뚱그려버리는 태도를 말한다.

 

역사는 유골들을 어떻게든 제로(0) 상태로 결산하려 애쓰고 있다.

명에다 명이 죽어도, 여전히 명이라고 말한다.

명은 마치 세상에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어딘가로 감쪽같이 사라져버린다.

-<야스오의 강제 기아 수용소>중에서

 

시는 이래야 하는 것이다. 명에서 누락된 명의 죽음을 목도하고 그를 기록하는 . 내가 잠든 동안 죽어간 목숨들, 내가 밥을 먹는 동안 지구 어딘가에서 벌어지는 전쟁, 내가 멍하니 흘려보내는 초의 시간들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려 애쓰는 노력. 세상에 평범한 것은 어디에도 없고, 사는지 모르겠는 나라는 존재 자체부터 평범하지 않은 기적과 같은 결과물이니까.

 

우리는 정확한 단어를 찾아(단어를 찾아서) ' 모르겠어' 답을 해결하려 애써야 한다.

 

내가 '미래'라는 낱말을 입에 올리는 순간,

단어의 첫째 음절은 이미 과거를 향해 출발한다.

 

내가 '고요'라는 단어를 발음하는 순간,

나는 이미 정적을 깨고 있다.

 

내가 '아무것도'라고 말하는 순간,

나는 이미 무언가를 창조하게 된다.

결코 무에 귀속될 없는

실재하는 무엇인가를.

 

-<가장 이상한 단어>전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