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매한 걸 정리해주는 사전
한근태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2년 5월
평점 :
가끔 말을 할 때, 이단어를 쓸까? 저단어를 쓸까?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혹은 글을 쓸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럴 때 나는 인터넷으로 사전을 검색해서 가장 가까운 단어를 골라서 적곤 한다. 하지만, 때로는 사전적의미보단 사회적으로 단어나 문장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져서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단어를 사용해야할 때가 있다. <애매한 걸 정리해주는 사전>은 그런 애매~한 것들을 정리해둔 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에는 애매하다그래서 뭐가 그리 애매할 까 생각했던것 같다. 비슷한 단어(유의어)를 정리해둔 사전이라고 해도 됐을 텐데, 그런 책은 또 아닌가? 무엇이 다른가 읽으며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을 다 읽었을 때의 느낌은 한근태 저자분은 참 많은 단어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정리하고 또 알고 있는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목차는 ㄱ,ㄴ,ㄷ,ㄹ ....순으로 되어있지만, 첫 단어(문장)가 ㄱ이더라도 비교하는 단어(문장)이 ㄱ이 아닐 수 있음을 알아야하고, 굳이 한글 자음순으로 목차를 안해도되지만, 혹시나! 이따금! 어떤 단어를 사전처럼 찾아보고 싶을 때에 쉽게 찾으라고 그런 순서로 정리해둔 듯하다. 그리고 이미 앞서 비교가 된 단어이더라도 뒤에서 다른 단어와 도 비교되고 다시금 설명되어지는 단어도 몇몇 존재하는데, 이를 찾는 재미도 솔솔하다. 그리고 각 항목별로 읽어보고 "아... 내 생각은 이게 아닌데?" 혹은 "내 생각도 이것과 비슷한데 좀 달라" 싶고 그 생각을 정리하고 플때에는 각 단어별로 아랫부분에 정리할 수 있는 빈칸을 따로 마련해 주었다.
하지만, 내용은 1~2page정도 되는 분량이면서 적을 수 있는 자리는 한 줄 정도로 짧게 적을 수 있어서 조금 아쉽다. 그 부분에선 활용도가 떨어지지만, 모든 항목에 내 의견을 적게 될 것이란 생각이 딱히 들지 않는다. 차라리 "나만의 애매한 걸 정리해주는 사전"을 만들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았다.
소개하고픈 내용이 있다. 일단 가장 눈에 들어왔던 "농사와 농업"이었다. 내가 농사를 지어서인지, 농사와 농업을 이야기할 때 흥미가 와닿았지만, 일부 맞지 않는 내용이 있다. 책에는 농사는 공부하지 않고 무조건 생산하는 것이고 농업은 판매를 목적으로 공부하고 생산 후 판로 등등 따지면서 분석하고 고객을 염두해둔다고 한다. 하지만, 내생각은 조금 다르다. 농사와 농업 둘다 공부없이는 힘들고(정말 힘들다) 공부를 안하고 그것들에 뛰어들었다해도 결국엔 공부를 하게될 것이라는 것이다. 물론 농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은 돈부터 다양한 방면까지 모두 공부해야하지만 농사를 짓는 사람이란 자연을 공부해야하고 작물을 공부해야하고 흙을 비롯하여 모든 부분을 공부해야하는 것이란 생각이다. 아마도 저자는 농사를 지어보지 않아서 하는 말일것이다.
독초와 약초도 다음으로 눈에 들어왔는데, 독초는 화려하고 눈에 들어오는 반면 약초는 반대라고 설명되어있으나, 내 생각에 독초와 약초는 한 끗차이다. 이 작물은 안먹는데? 라고 하지만 때로 일부환자에 있어 약이되는 식물이 몇몇개 있으며, 진짜 배기 약초는 뽑아서 냄새를 맡으면 달달하거나 맛있을것같은 냄새가 난다.
그리고 다음은 세대차이를 느꼈던 부분이다. 바로 "메시지와 메신저" 책에는 중요도를 먼저 따지고 사람이 메신저이고 그 사람의 말이 메시지가 된다. 나의 생각은 달랐다. 메신저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사람의 통칙. 메시지는 종이 쪽지나 프로그램에서 날라오는 쪽지, 혹은 말인 것이다.
또 다른 단어는 "투기와 투자"다 주식이든 가상화폐이든 땀흘린 대가가 들어가지 않으면 투기라고 했다. 그리고 땀을 흘린 대가가 들어가면 투자라한다. 내 생각엔, 땀흘린 대가를 받는 것은 투기나 투자가 아닌 다른 단어로 정의내려야할 것 같다. 예를 들면, 수익창출이라거나 물론 주식에서 수익금을 얻었을 때도 쓸 수 있겠지만... 조금은 다른 의미인듯하다. 그리고 투자는 수익창출된 자금으로 유망이있는 내가 잘 알고있는(혹은 공부하여서) 기업이나 사람에게 하는 것이 투자이고, 투기는 유망은 있어보이는데 나는 잘 모르는 기업이나 사람에게 투자하는 것이 아닐까? 어떠한 의미에선 자녀를 키워내는 것(책에서는 알아서 크는 것이라하지만)에 자금이 드는 것도 투자가 인것이 아닌가?
이 외에 정말 신박하고 기억에 남지만, 조금은 어려웠던 것은 "아는것, 깨닫는 것, 모르는 것, 설명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 내용은 누구나 다 읽어볼 만한 이야기 임으로 책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사용하면서도 딱히 명확하게 구분하면서 사용하는 사람은 잘 없을 수도 있는데, 때론 나름의 기준이나 사전적의미에 맞게 구분하여 사용한다면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을 좀 더 분명하게 사용할 수 있게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므로 단어 하나하나에 대한 의미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