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ERB for BEAUTY - 향기로운 오일이 된 식물들의 모든 것
심나래 지음 / 에이엠스토리(amStory) / 2025년 7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제 맘대로 읽고 작성한 솔직한 서평입니다.

요즘 농사를 지으면서, 또 화장품회사가 있는 제약회사에서 일해보고 드는 생각과 잔상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원료가 되는 작물이었다. 그래서 좀 더 알아보니 '허브'. 대체로 화장품의 원료가 되는 것도 허브, 제약회사에서 신약 후보 물질이 되는 것도 식물이다. 그래서 이래저래 허브와 관련한 책을 알아보고 있었는데, 딱 Herb for Beauty(허브 포 뷰티) 를 발견하게된 것이다.
허브 포 뷰티 책이 생각보다 더 전문적이었고, 구체적인 책이여서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일단 허브에 역사부터 에센셜 오일 속의 화학성분에 대한 내용이 잘 분류되어 설명되어있는데, 기존에 화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읽어도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고등학생 때 이공계만 공부했더라도 어느 정도 이해하기 쉬웠을 것이다.
그리고 에센셜 오일은 꽃 정도에서만 추출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식물체 전체에 걸쳐서 추출할 수 있었고, 허브마다 추출 할 수 있는 부위가 다르다는 사실이다. 이걸 모르고 아무렇게나 덤빌 뻔 했다. 각 에센셜 오일에 대한 내용은 aromatic, camphor, earthy, floral, fresh, medicinal, spicy, woody & balsam 에 carrier oil까지 소개가 되어있다. 각 항목별로 6가지의 이상의 에센셜 오일이 설명되어있다.
가장 처음에 aromatic에 맨 처음 오일은 바질이다. 우리가 흔하게 먹고, 밭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아는 사람은 다 심어먹는 허브 중 하나다. 나 역시도 밭에 토마토와 함께 잘 심겨져 있다. 밭에 심겨진 바질은 처음에는 그냥 토마토의 친구였고, 몇 해 심다보니 식탁으로와 음식이 되었다. 그런데 그런 바질의 효능과 효과 인도와의 관계 함유된 성분까지 알려주고 있다. 그래서 에센셜 오일 말고도 신체건강이라던가 용법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고 바질을 사용할 수 있을 듯하다.
이것 말고도 마누카가 꿀의 상표명인줄 알았는데, 식물이고 마누카 꽃에서 채취한 것이 마누카 꿀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전에 친척이 선물로 마누카 꿀을 잔뜩 사오신 적이 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먹는 기존의 꿀과는 식감도 질감도 다른 꿀이었다. 근데 뉴질랜드 마오리족의 귀한 약초가 마누카였다니, 역시 사람은 알아야 보인다. 라반딘이 트루 라벤더와 스파이크 라벤터의 교잡종이라는 것과 라벤더의 종류를 교잡종과 일반종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새로 알게되었다. 러비지가 구당귀, 베이 로렐이 월계수, 히노끼가 편백 등등 어디선가 다 들어본 말인데, 그게 정확히 어떤 것인지 확실하게 구분이 되지 않았었는데, 이 책을 통해 제대로 구분하게 된 듯하다. 레몬과 라임의 차이와 쓰임새, 그리고 각 에센셜 오일 별로 사용법과 역사적 사실, 종류가 어떻게 나뉘어 지는지와 독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등 정말이지 에센셜 오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혹은 에센셜 오일이 아니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때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읽으며 고민하고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뿐만아니라 이 책이 한국에서 쓰여지지 않고, 외국에서 쓰여 졌다면 번역본도 외국을 기준으로 작성이 되었을 텐데, 한국인이 작성한 책이다보니까 역사적인 기준이나 사용법들이 모두 한국을 기준으로 작성되어있었다. 그래서 해외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항목인데, 한국의 전통적인 용법이 소개되어있어 어떤 방식으로 사용이 되었었는지도 함께 알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뱀에 물렸을 때나 뱀이 기피하는 허브에 대해서도 꽤나 많이 나와있어서 에센셜 오일에 대한 공부도 가능하지만, 농사 지을 때도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도움이 되었으나, 에센셜오일이나 원료에 대해 공부하려는 사람, 식물(허브)에 대한 공부, 고대~현대까지 식물이 어떻게 인류와 함께 살아오게되었는지 알고싶은 사람 등 식물에 대한 소중한 안내서가 되어 줄것이라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