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과목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은 대학가서 국민윤리교육학과에 다니는 친구 덕에 해보게 됐다. 친구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도덕 선생은 반드시 도덕적이어야 하나 뭐 이런 고민이 들 때가 있다고 했던 것 같다.

도덕과목이 철학의 기초과정이었던 것 같다. 그치만, 학창시절 나에게는, 그리고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도덕은 그냥 암기과목으로 여겨졌었다. 

옛날부터 교육은 아이들 개개인의 소질을 이끌어내어 주는 것, 이미 마음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지혜를 밝혀주는 것으로 정의되어온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의 우리 교육은 아이들의 단점을 보완해서 얼마나 잘 보완했나 평가하는, 이것도 저것도 대~충 다 잘 할 수 있는 평준화된 교육, 밥벌이 대비용 교육, 어른사회의 치열한 경쟁, 외형적 성과에 급급한 슬픈 현실의 축소판이 되어버린 교육이 아닌가. 철학이 부재한... 여기에 교원평가제까지 곁들인다면, 아이들은 세상을 그야말로 평가가 난무하는, 무한경쟁의 살벌한 판으로 여기게 될 것만 같다.

어째서 이렇게 치열하게 살게 되었는지...유치원때부터 경쟁이 시작되고...이런 현상을 당연하고 필요한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사람들의 마음이 세상을 만들기도 하지만, 세상의 모습이 사람들의 마음을 만들기도 할 것이다. 그렇기때문에 개개인의 의식 변화도 중요하지만, 사회개혁이 구성원의 의식을 한꺼번에 바꿀수도 있는 것 아니겠는가. (예를 들어서, 가부장제 폐지가 점차적으로 많은 여성들에게 존중감을 부여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자아존중감은 여러모로 중요한 개념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더 자율적이고 배려할 줄 알고 친절할 수 있으니까. 부모도, 교사도 아이들에게 자아존중감을 심어줄 수 있으면 성공한 거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볼 때도 교육개혁은 사랑으로, 서로 신뢰하며 희망을 가지고, 좀더 세심하게, 멀리 바라보며 해야 하는 건데...

... 어떻게 교육을 해야 잘 하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