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자유의 길

                                                     안셀름 그륀, 분도출판사

...요하네스 슈라이버는 마르코 복음에 관한 자신의 연구를 '신뢰의 신학'으로 지칭했다.... 마르코는 나자렛 예수에 관해 이렇게 묘사한다. 그분은 하느님께서 가까이 계시다는 신뢰로부터 당신의 내적인 권능을 믿었던 분이고, 당신 마음 속에 있는 바를 단순하게 말씀하시고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바를 가차없이 행하시는 분이며, 적대자들과의 대결에서도 하느님께 대한 신뢰를 끝까지 지키시는 분이다. 그분은 많은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파 사람들과 홀로 대결하시면서도 하느님에 관해 체험했던 바를 간직하신다. 그리고 예수께서는 적대자들에 의해 체포되어 유죄를 선고받고, 고문당하고, 모욕당하고 죽으실 때도 하느님께 대한 신뢰를 버리지 않으셨다. 그분의 신뢰는 바로 십자가의 죽음에서 완성된다....예수 죽음의 기적을 이해한 첫 사람은 이방인 백부장이다. 복음은 그가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비명 소리를 들었던 것이 아니라 보았다고 말한다. 바라봄, 깊이있게 바라봄은 신앙에 속한다. 만일 내가 예수의 비참한 십자가 죽음에서 그리고 그 죽음의 비명소리에서 하느님께 대한 예수의 절대적인 신뢰를 본다면, 나는 마르코 복음의 메세지를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십자가의 죽음에서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예수의 무조건적인 신뢰가 드러난다. 그리고 십자가에서, 인간들을 고쳐주시고, 악마의 세력에서 해방되기 위해 투쟁하셨던 그분의 사랑이 완성된다. 마르코는 죽음의 무기력에서 악마의 세력을 이겨내신 예수의 사랑을 역설적인 비유로 묘사한다. "이웃의 생명을 위해 헌신하는 이 사랑은 죽음으로써 생생하게 된다. 그러니까 이 사랑은 죽으면서 죽음을 이겨낸다. 예수의 죽음으로부터 사랑의 새 생명이 의기양양하게, 마지막 희생을 각오하면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수 안에서 하느님의 사랑은 무기력과 실패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자들은 그 사랑을 믿기 어렵다.그들은 마지막 순간까지 예수께서 보여 주신 하느님의 사랑을 믿지 못한다. 독자는 예수의 죽음 안에서 어둠의 세력에 대한 승리를, 미움에 대한 사랑의 승리를, 모든 불안에 대한 신뢰의 승리를 보도록 초대받고 있다. 마르코에게 예수는 참된 신앙인이시다. "그분은 온갖 시련 중에서도 신앙을 지키고 하느님 아버지를 조건없이 신뢰하신다." 그분은 "하느님께 버림을 받은 온갖 상황 속에서도 하느님을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표현으로" 죽으신다. 독자는 죽음에 직면해서도 하느님을 끝까지 신뢰하시는 예수의 모습을 묵상함으로써, 하느님께서 모든 불안과 곤궁을 극븍해 주시고, 하느님에게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예수와 더불어 신뢰하도록 초대받을 것이다.

마르코는 많은 불안으로 인해 괴로워하는 현대인들에게 신뢰의 신학을 이야기하고 있다. 불안은 우리 시대의 근본 주제이다. 마르코는 값싼 위로를 언급함으로써 불안을 잠재우지 않는다. 오히려 불안과 고독과 거부 그리고 실패의 모든 상황을 묘사하고, 가장 극심한 고독과 무기력의 장소인 십자가에서 사랑의 승리를 밝혀 줌으로써 불안을 잠재운다. 마르코는 이런 십자가 신학으로 현대인의 가장 큰 불안인 곤궁, 실패, 질병, 외로움, 고독에 대해 해답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죽음의 불안에 대해서도 해답을 내린다. 마르코는 십자가에서 불안에 대한 신뢰의 승리만을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고독과 무능의 길을 걸으시는 예수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십자가의 길을 가시는 예수를 추종하려고 각오할 때, 죽음이 사랑을 물리칠 수 없음을 이해할 것이며, 바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사랑이 가장 힘있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

가끔 생각해 보는 건데, 만일 우리가 예수께서 활동하시던 시절에 살았더라면 예수라는 사람을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한 위격이신 성자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외적으로 볼 때, 학력도 없는, 겨우 삼년간 설교와 치유를 행하다가, 사형수로서 십자가에 못박혀 죽음을 당한 이름없는 인물을... 이렇게 볼 때, 역사적으로 그렇게도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그 이름을 위해 순교까지 했다는 사실 자체가 기적이리라...

대다수의 현대 기독교인들이 불안을 달래기 위해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건 아닐까? 현세에 대한 불안, 죽는 순간과 죽음 후의 세계에 대한 불안 때문에... 현대인의 신앙생활 모습을 하느님께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계실까?

요즈음, 주일을 거룩하게 지내라는 것이 꼭 주일마다 미사나 예배에 참석해야 한다는 뜻일까? 하고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온가족이 같은 신앙을 갖고 있으면 주일마다 같이 미사 참석하는 것이 가족 행사가 되니까 뜻깊을 수 있겠지만, 나처럼 한사람만 미사참석하고, 나머지 식구들은 소외감을 느끼며 집에 있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내 마음이 많이 치유됐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힘이 필요할 때에는 물론 그런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아픈 사람이 다른 사람 배려할 겨를이 어디 있겠는가... 병원에 가겠다는 걸 못마땅해하는 사람이 야속할 뿐이지...

한때는 나를 고쳐주신 하느님이 너무 감사해서 은혜를 갚기 위해 마음에 고통을 받는 사람을 위해 일하겠다는 결심을 했었다. 이제와서는 그것이, 아버지가 감사해서 아버지 곁에 남아 있으면서, 한편으론 이러면 아버지께서 끝까지 나를 돌보아 주시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는 심리가 작용한 건 아닌가 하고 생각하게 된다.

인품이 훌륭한 부모라면 자식이 어렸을 때, 또 아파할 때 돌보아 주고서, 자기 곁에 남아있기를 기대하지 않고, 자식이 하고 싶은 대로 하게 지켜볼 것이다. 하물며 하느님은...

자기 자신과 하느님을 깊이 신뢰하지 못할 때, 어떤 사람들은 감사하는 마음도 별로 없이, 은총을 기대하는 마음을 가진 채, 의례적으로 하느님께 일주일마다 출석도장 찍으며, 이웃사람과 놀다오는 것 아닐까? 나처럼 이웃과 놀 마음이 없는 사람은 하느님을 만나러 가는 건데, 꼭 미사에 참석해야만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며 거룩하게 지내는 것일까? 어쩌면 게으름을 이런 생각들로 합리화하는 걸까?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런 건 아닐거다. 스스로의 한계 이상으로 뭔가를 해내야 할 때, 힘을 얻기 위해 오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고통을 견디는, 자기 자신의 한계 이상을 하고자 할 때 힘이 되는, 자신만의 철학이나 신앙이 있을 때 삶은 좀더 수월해질 것이다. 모든 고통과 부조리와 비합리라는 그림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그만큼 많은 정의와 사랑과 선의가 있음으로 해서 아름다운 세상으로 느낄 수도 있고... 개인에게도 그림자가 있음은 당연한 거고, 그 그림자를 수용할 때 인격이 더 풍부해 지는 것처럼, 사회에도 교회에도 그림자가 있는 건 당연하고, 그 그림자를 수용할 때 더 풍성해질 수 있겠지... 마음으로 수용은 하겠지만, 그 안에 머무르고 싶지는 않다.

체험해 보려고 한다. 주일미사를 지키지 않으면서 하느님과 나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잘하면 보다 더 큰 신뢰를 갖게 될 것이다. 사실, 난 점점 형식적인 것은 딱 질색으로 느껴진다. 천주교의 온갖 제례들, 미사의 형식들... 하느님께 드리는 제사라고 생각하니까 미사의 형식을 견디는 것이지, 영성체를 제외하면, 미사보다 교회 예배가 훨씬 자유로와서 좋다. 예배는 너무 가벼운 것이 마음에 안들지만... 대체 어떻게 신앙생활을 해야할지... 스스로 탐색해 보아야겠다.

진리가 우리에게 자유를 준다고 했는데, 크고 사랑 가득하신 하느님 안에서 스스로를 책임지는 자유를 더 깊이 체험해보고 싶다. 예수님께서 하느님께 가지셨던 신뢰와 사랑을 가지고... 두려움 없이...

마태오 12장 37절 ; 잘 들어라. 심판날이 오면 자기가 지껄인 터무니없는 말을 낱낱이 해명해야 될 것이다. 네가 한 말에 따라서 너는 옳은 사람으로 인정받게도 되고 죄인으로 판결받게도 될 것이다.

이 말씀엔 약간 두려움이 느껴진다. 사실, 두려움을 느낄 일은 바로 이 말씀이 아닐까? 누가 과연 하느님 마음을 제대로 안단 말인가?

하지만, 내가 체험한 하느님을 이야기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말이 아니겠지... 과연 있는그대로의 하느님을 내가 느낄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내 시각을 갖고 인식하게 되기가 쉬우니까... 그렇더라도 여러 사람의 다양한 하느님 체험을 모아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