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 중에서

                                                                                         안도현

  일생동안 나무가 나무인 것은 무엇보다도 그늘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있다.

  하늘의 햇빛과 땅의 어둠을 반반씩, 많지도 적지도 않게 섞어서

  자기가 살아온 꼭 그만큼만 그늘을 만드는 저 나무가 나무인 것은

  그늘이라는 것을 그저 아래로 드리우기만 할 뿐

  그 그늘 속에 누군가 사랑하며 떨며 울며 해찰하며 놀다가도록 내버려둘 뿐

 스스로 그늘 속에서 키스를 하거나 헛기침을 하거나 눈물을 닦거나 성화를 내지 않는다는 점이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말과 침묵 사이, 혹은

소란과 고요 사이

 나무는 저렇게

 그냥 서 있다.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듯 보이는

 저 갈매나무가 엄동설한에도 저렇게 엄하기만 하고 가진 것 없는 아버지처럼 서 있는 이유도

 그늘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제 빈한한 집안의 지붕 끝처럼 서 있는 저 나무를

 아버지, 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때로는 그늘의 평수가 좁아서

 때로는 그늘의 두께가 얇아서

 때로는 그늘의 무게가 턱없이 가벼워서

 저물녘이면 어깨부터 캄캄하게 어두워지던 아버지를

 나무, 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눈 내려 세상이 적막해진다 해서 나무가 그늘을 만들지 않는 것은 아니다

 쓰러지지 않는, 어떻게든 기립 자세로 눈을 맞으려는

 저 나무가

 어느 아침에는 제일 먼저 몸 흔들어 훌훌 눈을 털고

 땅 위에 태연히 일획을 긋는 것을 보게 되는 날이 있을 터

 

*이 시를 읽을 때 융의 '그림자'가 떠올랐다. 무의식으로서, 자아가 그 존재에 대한 인식을 거부하기 때문에 자아의 반대편에 생기는... 자신의 그림자를 하나씩 깨달아갈 때, 그리고 용기를 내어 수용하고  체험할 때 긍정적인 에너지로 변하면서 우리의 의식이 그만큼 넓어지고 통찰이 깊어진다는...

사람은 그림자가 있기 때문에 사람인거다. 그게 없다면 천사나 악마같은 영적인 존재겠지. 그림자를 깨달은 사람은 그 깨달음만큼, 나무그늘같은 여유와 휴식공간을 다른 이에게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자기가 살아온 꼭 그만큼만 그늘을 만드는'을 그렇게 볼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