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호밀밭의 파수꾼
- 읽는 내내 주인공이 혹시 어떻게 될까봐 걱정하고, 제발 사회적 규범에 순응하게 되길 바라게 되는 나는 이미 틀에 박힌 어른인가보다.
- 학교 생활이 싫은 것은 이해되었다, 충분히. 온통 싫은 녀석 투성이에 공부에 거의 모두 낙제점을 받았으니 좋을리가 없다. 좀만 참으면 되는걸 알더라도 당장 뛰쳐나오고 싶었을 것이다.
- 읽는 내내 온 세상을 향해 욕이나 하는 것을 듣고 있자니 세상 다 산 노인네 얘길 듣는 듯 얘가 왜 이러나, 싶었다.
-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욕을 하고 싶은 법이긴 하다.
- 그렇게 너무 외롭고, 우울하고, 어리숙한 모습은 청소년기에 한번쯤 겪어봤을 터다. (아닌 사람도 있을까..) 그때 이걸 읽었다면 세상에 나 혼자는 아니라는 걸 알고 위로가 되었을까. 아니면 결국 마지막에 학교로 돌아간다는 걸 알고 좌절했을까. 하긴 펜시로 간단 말은 없었으니 좌절까진 안 했을지도.
- 부자건 뭐건 다르지 않구나 하는 것도 느꼈다.
- 주인공은 자기가 용기도 없고 싸움도 전혀 못한다는 것도 안다. 아마 자살할 용기도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스트레드라이터 혹은 모리스에게 따박따박 말대꾸를 한 것을 보면 맞을 용기는 있었다. 그 최소한의 용기라도 가진게 부러웠고, 응원했다.
- 주인공은 순수의 세계를 갈망했다. 수녀들과 이야기 하는 것, 제인과 장기를 두는 것, 피비와 이야기하는 것. 그런 것들만 보듬기에 콜필드 주변은 너무 세속적이었다. 본래 그 나이에 만나는 세상이 으레 그런 것이었으며 순수의 세계에서 세속적 세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다.
- 어른들 세상이란 무엇일까. 자기 행동에 직접 책임을 져야 하는 세상. 더 이상 봐주거나 이해받지 못하는 세상. 더 이상 뭔가 새로운 일이 나를 위해 벌어지길 기대하지 못하는 세상. 뻔한 세상.
- 청소년기에 읽었다면 더 좋았겠다. 그땐 지각 좀 하거나 성적이 떨어지면 아, 난 안되는구나 포기하자 그럴 때였는데. ˝그 나이는 포기하기엔 너무 어리고 세상은 넓고 기회는 많다.˝ 이 말이 그땐 맞는데 지금도 맞을지, 고민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