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리는 즐거움 - 7:5:1 정리 법칙으로 일상이 행복해지는 기술
야마시타 히데코 지음, 박선형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그간 미니멀라이프란 좁은 집 등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면서 가진 최소한의 것을 최대한 활용하며 사는 것이라 생각했다. 밥솥대신 냄비, 전기포트 대신 주전자 등 대체할 수 있는 물건은 하나만 갖고, 불필요한 소비도 줄이는 모습은 자원을 아끼고 자연을 아끼는 자세와 일맥상통한다고 여겼다.
그러나 내가 넘겨짚은 것일까. 이 책은 미니멀라이프라 해서 무조건 자원을 아끼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처음 그런 느낌을 받은 것은 ˝행주 대신 키친타올을 쓴다˝는 부분이었다. 행주는 씻고 삶고 널고 개야 하는 시간 투자가 필요한데 그리 해도 키친타올보다 깨끗하리란 보장이 없단다. 행주는 씻는데 물과 세제를 써 물을 오염시키고, 키친타올은 만드는데 물도 오염시키지만 나무를 벤다. 안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이미 그렇게 살고 있긴 하지만, 나무 베는 것을 대놓고 권장할 일이긴 한가.
*기란 무엇인가*
출근용 옷 쇼핑은 한 달에 한 번 하고, 그간 입었던 옷은 신세 많이졌다는 마음으로 다른사람에게 주거나 처분한다. 새로운 기를 받아들이기 위함이다.
˝작년 옷이 구닥다리로 보이는 것은 여러번 세탁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기`가 빠졌기 때문일 것이다(78p)˝.
기에 대한 논리적 설명은 없다. 기분 좋음, 자기만족이 ˝새로운 기˝와 같은 뜻이라면 틀린 말은 아니겠다.
*자기 취향 강요*
어떤 이 집에 갔는데 이십 년도 지난 미스터도넛 경품 머그컵을 거슬려하며 ˝혹시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묻는다. 작가는 몸이 아팠던 봄 쇠약해진 몸에 활력을 주자는 취지로 한 세트에 이십만원짜리 컵을 쓰고 있다. 우아하고 여성스럽고 싶다면 캐릭터 경품컵은 버려야 한단다.
*논리적이기보단 종교적*
1은 2를 부르고 2는 3을 부르고 3은 만물을 부른다는 노자의 명언을 소개한다. 그래서 스타킹 6켤레, 양말 3켤레 등 3에 맞춰 가진단다. 설득력 있다기 보단 종교적 맹신에 가깝단 생각이 먼저 든다.
*모순*
아무리 좋게 해석해도 미니멀라이프와 다소 멀게 느껴지는 것은 침대 옆 의자와 테이블을 ˝호텔방처럼˝ 둔다는 것이다. 거기서 딱히 뭘 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그러고보니 제목은 딱 맞게 지었다. ˝(사고) 버리는 즐거움˝ 혹은 ˝(쉽게) 버리는 즐거움˝.
미니멀라이프에 대한 좋은 책은 이 책이 아니고도 얼마든지 있기에 별은 하나만 주려했다. 그러나 미니멀리이프에 대한 내 생각이 어떤건지 명확히 알게해 준 고마움에 별 하나를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