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이 우리를 공주 취급해 - 은근한 차별에 맞서는 생각하는 여자들의 속 시원한 반격
타라-루이제 비트베어 지음, 김지유 옮김 / 프런트페이지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을 펼쳤을 때, 

여자는 힘없고 약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남성들 또는 사회를 향해 팩트를 날려주는 책 일거라고 짐작하며 읽었다.



" 애를 둘이나 키우면서 풀타임으로 일도 하다니 정말 대단하네요!"



위 말이 칭찬이 아니라는 말에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인들과 얘기 할 때 했던 발언이기 때문에.


칭찬의 탈을 쓴 여성혐오라니.

이 모든 것이 가부장제 사고방식과 관념 속에서 사회화 되었기 때문이란다.


정말 마지막까지 충격을 안겨준 책이다.

"나는 아닐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도 모르게 사용하는 말들과 생각의 많은 부분들이 여성혐오에 해당되었다.


여성인 나 조차도 인지하지 못하고 여성 혐오적인 생각과 발언을 한다는 것에 

1차 충격을 받았다. 

그로인해 생각을 많이 바꿔야 겠다는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다.


돌이켜보니,

말로는 여성과 남성이 동등해야지 하면서도, 

힘들고 거친일을 하는 여성들을 보면  '여자인데 대단하다' 생각했다.

그에 반해  힘들고 거친 일을 하는 남성들을 보면 ' 역시 남자들은 다르네' 라며 

늘 이런식으로 생각해왔던 것 같다.


그래서 나는 내가 여성혐오적인 생각을 하는 것 조차 '인지' 할 수 없었다.


많이 부끄러웠고 당황 스러웠다.

아마도 < 온 세상이 우리를 공주 취급해 > 를 만나지 못했더라면, 

지금과 늘 똑같이 생각하며 살아갔을 것 같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되었던 것일까.


처음 시작은 이 책을 읽고 많은 공감과 위로를 받고 싶었다.

지금은 많이 반성(?) 하고 있다.. ㅠ.ㅠ


물론 정말 공감되고 위로 받는 부분도 많았다.

그래서 나란 사람의 가치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져보게 되었다.


조금씩 변화의 노력이 필요 할 것 같다.


왕자, 공주가 아닌 

남자, 여자가 아닌 

사람과 사람으로 상대방을 대하는 태도.


우리는 모두 동등하고, 동등해야 한다.


그럴려면 어긋난 첫 단추를 다시 잘 끼워 넣어야 한다.

이미 어릴 때부터 가부장제 사고방식 속에서 자라온 '나' 부터 변화가 되어야 

한다.


'나'의 변화로 인해 '우리'가 변화하고, 

'우리'가 변화함으로써

'우리사회' 가 점차 변화하길 바란다.


우리는 '공동체의 삶'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존재들 이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