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1 - 정조 시대를 읽는 18가지 시선
이덕일 지음 / 고즈윈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머리에 '이 시대에 왜 정조인가?'란 화두가 있다.

'우리가 무조건 옳다!', '반대하는 자에겐 오로지 죽음뿐!'이란 말이 떠오를 정도로 목숨을 건 당쟁 속에 아버지를 희생당하고 본인 또한 언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할지 몰라 불안에 떨며 세손 시절을 보내야 했던 정조. 목숨이 경각에 달렸던 불행한 유년 시절-임금이 되고 나서도 자기 아버지를 죽게 한 자들에 대한 복수도 맘껏 하지 못하고 가슴앓이 하며 다른 방도로 결국에 하나하나 그들의 죄갚음을 이뤄내고자 얼마나 많이 고민했을 것인가? 더구나 아버지의 죽음에 자신의 어머니 또한 개입되어 있다면 더 말할 필요 없지 않을까? -이 정조에게 끝없는 수련과 학문에의 몰입, 그리고 개혁에 대한 갈망을 만들지 않았을까?

 백성들의 임금이었으나 노론 신하들의 임금일 수는 없었던 그가 꿈꾸었던 세상은 진정 백성들이 잘 사는 세상, 신분에 따른 차별이 없는 평등한 세상이 아니었나 싶다. 정조 死後 다시 집권한 노론에 의해 집필된 조선왕조실록이 못미더워 다른 많은 글들, 특히 정조가 하루하루 반성해야 한다며 쓰게 했던 '日省錄'의 글을 참조한 이 책을 보면서 조선 후기 중흥기를 이끌면서 화성을 쌓고 사도세자에 대한 효성이 지극했던, 그리고 많은 문헌을 편찬했던 국사책에나 나오는 그런 정조의 모습이 아니라 하루하루 임금으로서 누구보다도 성실하고자 했던, 그리고 누구보다 검소하게 살았던-비단 옷 보다 무명옷을 즐겨 입고, 그것도 여러 번 빨아서 입고, 비가 새는 지붕도 아랑곳 않고 백성들을 위해 내탕금을 내어놓고...- 정조의 참모습을 접할 수 있다.

'책을 보며 역사는 진보하는가? 반복되는가?'란 답없는 질문이 또다시 떠올랐다. 국민들의 여망은 아랑곳 하지 않고 자신들의 당리당략을 위해 오로지 서로 헐뜯고 비난하고,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상대당이 하면 무조건 반대하고 발목잡는 한국의 정치 현실을 보며 정조도 이러한 시대를 살았겠구나란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얼마나 힘들었을까? 본인이 꿈꾸던 세상을 이루기 위해 개혁적인 정책을 펼 때마다 얼마나 많은 반대와 위험을 무릅써야 했을까? 반정(쿠데타)에 대한 불안감으로 왕실 근위병들조차 믿을 수 없어 '장용영'이란 새로운 부대까지 창설해야 했다면 말 다한 거 아닌가?

 말로만 국민을 위한다고 떠드는 정치꾼들에게 이 책을 읽기를 권하고 싶다. 정조의 말과 글을 보고 진정 국민을 위하는 게 무엇인지, 자신들만 옳다는 아집이 얼마나 어리석고 무서운 일인지 이 책을 보면서 좀 깨달을 수 있었으면 한다. 이 시대 정조처럼 멸사봉공하는, 모두 잘사는 세상을 꿈꾸며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정치가가 그리운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