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느린토끼의 클래식 빵 - 느릿느릿 맛있게 굽는 베이킹 레시피 북
고윤희 지음 / 책밥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빵을 참 좋아하는 빵순이이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고나면 느긋하게 나혼자 먹는 점심은 

빵과 샐러드에 스프와 커피를 곁들에 먹는 것을 좋아한다. 

간단한 치아바타나 포카치아 바게트 베이글도 참 좋아하고 

때론 다양한 속재료가 들어있는 풍부한 맛의 빵도 좋아한다. 

코로나 이전엔 베이킹수업을 따로 듣긴했지만 집에와서 실천하기란 쉽지않았다. 

선생님이 칠판에 적어준 레시피는 간단했고~ 

집에와서 다시 해보기엔 너무 헷갈리는 과정이였다. 

그렇게 짧게 베이킹을 배우고 집에서도 도전해보고 싶었지만 

책에 과정이 자세히 나오지 않은 레시피북으 보면서 한없이 아쉬움만 남았다.

그런데 이번에 만나본 책밥의 고윤희님이 쓴 

<안녕느린토끼의 클래식빵>을 보면서 다시 베이킹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물씬 들었다!


이 책은 기존에 알던 다른 레시피북과 는 다르게 과정들을 

정말 깨알같이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제과는 과정이 자세히 안나와도 결과물이 썩 만족스럽다. 

하지만 제빵은 반죽을 발효하고 반죽하는 과정의 

반죽의 결과 온도와 방법이 자세하지 않으면 결과가 망하곤 한다. 

그런데 작가의 충실한 레시피북을 보면서 이번엔 제대로 용기내어 도전해보련다! 

빵을 먹는 것도 좋아하지만 맛있게 만들어서 함께 나누는 

소소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정독하고 또 읽고  또 읽고~

레시피 과정을 머릿속에 넣고 실천해볼 수 있겠다! 

업용 이스트와 다양한 사전 반죽으로 만드는 빵 / 

상업용 이스트 없이 르방을 사용한 빵 / 

상업용 이스트없이 호밀 르방을 사용한 빵까지 

이렇게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처음 프롤로그 부분에서는 빵에 대하여~ 

빵의 첫번째 재료인 밀가루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있다. 

다양한 재료와 도구에 대한 설명도 빼놓지 않았다.



밀가루가 빵이되기까지 총 10가지의 공정이 필요하다. 

믹싱 - 1차발효 - 접기 - 분할과 가성형 - 휴지 - 성형 - 2차발효 - 쿠프 - 스팀 - 굽기. 

빵을 만드는 공정이 생각보다 길고 복잡하며 

온도나 습도에 크게 좌지우지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 홈베이커들에겐 제과는 쉽지만 제빵은 쉽지 않다. 

하지만 반복과 실패 그리고 성공에 이르기까지 노력을 계속 더하다보면 

내가 좋아하는 빵은 쉽게 만들어서 나눠줄 수 있지 않을까? 

빵이 밀가루가 되는 이 열가지 과정을 사진과 글로 자세히 써져 있어서 참 좋았다. 

화학수업과도 같은 다양한 언어로 이 과정을 이해하고 또 공부하는 것도 재밌다~



상업용 이스트를 이용한 레시피로는 탕종베이글 / 허브 갈릭 베이글 / 

탕종 식빵 / 크랙 시오빵 / 전통 바게트 / 풀리쉬 치아바타 / 감자 포카치아 / 

손 크루아상 / 빵오쇼콜라 / 바닐라 퀸아망 / 슈톨렌 등이 있다. 

상업용 이스트 없이 르방을 사용한 빵으로는 깜파뉴 / 요거트 식빵/ 

치아바타 / 바게트 /루스틱 / 블루베리 베이글 / 크레페 등이 있다~ 


요즘 시오빵 맛집들이 유행이다. 소금빵이라고 하는 시오빵! 

짭쪼롬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에 우리집 딸래미들도 너무 좋아하는 빵이다. 

통통하고 가볍고 껍질이 매끈하고 속살이 부드러운 빵! 

재료도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느껴진다. 밀가루와 물 이스트, 설탕, 버터, 소금 이면 끝! 

생각보다 재료도 단순한데 이 맛있는 것을 내가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무엇보다 설명이 무지하게 자세히 나와있다. 

눈으로만 읽어도 내가 만드는 것 같은 착각이 들만큼 

과정과정 45장의 사진과 글로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날이 추우면 발효시간도 길어지고 적정 온도와 습도를 맞추는 것이 쉽지 않아서

한겨울 베이킹을 하는 초보에게는 선뜻 도전을 하긴 쉽지않지만.. 

읽고 또 읽고 만들어보자는 다짐을 서게하는 안녕느린토끼의 크래식 빵이다^-^!


르방은 곡물이나 공기 중에 극소량 존재하는 자연의 이스트를 

반죽 속에 집약하여 배양한 천연 발효종이라서 일반적으로 

상업용 이스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건강에 더 좋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초보 베이커인만큼 우선 상업용 이스트를 이용해서 훈련이 되면~


그 뒤에 르방을 통해 더욱 맛있는 빵을 만들어 보려한다.

 우선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슈톨렌을 만들 수 있으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이들었다.

크리스마스 전후로 먹는 독일의 전통 빵이기에~ 

겨울에 한조각씩 잘라먹으면서 크리스마스 시즌을 만끽해 보고 싶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