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걱정나무가 뽑혔다 작은거인 55
홍종의 지음, 이영림 그림 / 국민서관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를 보면 당찬 소녀와 그 뒤로 커다란 나무 그리고 양옆으로
마을 주민들의 소리치는 모습과 반대편엔 개발을 뜻하는 포크레인들이 있다.
<어느날 걱정나무가 뽑혔다>는 주인공 상아네 동네는
자연건강마을 개발문제로 마을이 양극화가 되어서 소란스럽다.
마을의 개발을 주장하는 쪽과 개발을 반대하는 쪽으로 마을주민들도 갈라져버렸다.

 

심지어 상아의 부모님도 서로 언성을 높이게되고~
시골학교인 상아네 초등학교 내 같은 반 친구들도
부모님의 이해관계에 따라 서로 반대가 되서 분위기가 서먹서먹하고 좋지않다.
선생님은 개발 찬반을 놓고 아이들이 토론하게 하고,
상아와 필규는 개발 반대편이 되는데 토론날 개발 반대편입안자이던 필규가
결석을 하게되니 상아는 제대로 된 반대의견을 내지 못해 풀이 죽는다.

 

빗자루를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모습의 걱정나무라고 부르는 커다란 나무가 있는데
주인공 소녀 상아는 그 곳에서 고민을 털어놓곤했다.
상아와 같은 팀인 소인이가 개발반대의 이유를
천연기념물인 수리부엉이의 존재로 인해 서식지를 개발 못한다고 한다.
그렇게 상아는 탱자나무 가지에 갇힌 수리부엉이를 구해준 것을
떠올리며 마을개발을 막는 것에 힘을 보태는데..

 

개발을 하려는 사람들의 주동자로 뽑히는 타지에서 온 필규아빠는
마을의 걱정나무를 베어버리고 뽑아버린다.
마을사람들은 서로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싸우다가 걱정나무를 보고 한마음이 된다.
개발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오래된 숲과 동식물들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걱정한다.

 

 

아직도 우리나라에 많은 곳에서 지역개발과 환경보존의 문제로 시끄러울 때가 많다.
마을이 광관지나 다른 이유로 개발을 됨으로서 집값이 오르고 외부인의 출입이 많아지며,
상권이 형성되어 마을 주민의 경제적 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반대로 산좋고 물좋고 공기좋은 자연환경이
오랜시간 그 자리를 지켰지만 사라지게 되며,
개발로 인한 이익이 모든 마을 사람들에게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닌
이익을 보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로 나뉘게 된다.
요즘 도시의 아이들에게는 낯선 이야기일 수 있지만,
지역 개발과 환경의 보존의 두가지 주장에 득실이 있기에
두가지 안건에 대해 이해하고 하나의 편을 정해 서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다.
누구의 잘못을 가리거나 책망하기보단 인간으로서 어떤 행동을 함으로서
자연과 공존해나갈 수 있을 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앞으로도 아이들이 미래를 생각하며 자연을 보존하면서
서로 상생하는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되도록
지속가능한에너지와 개발을 선택하는 자연의 일부가 되길 바래본다~


 

* 국민서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