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메르라는 이름을 처음 접한 것은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를 읽으면서였는데, 그 책을 읽으면서 루브르 박물관에 가면 꼭 레이스를 뜨는 소녀를 눈여겨 보리라 다짐했었다. 그리고 실제로 루브르에서 봤을때에는 생각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그림을 보고 꽤 놀랐었다. 이렇게 작고 흐릿한 그림, 혹은 이 그림을 그린 화가 베르메르가 요즘 들어 회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며칠전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상상력에 무척 놀랐었다. 아무리 한 작품에 맘을 온통 빼앗겼다 하더라도 어쩜 그렇게 상상에 가치를 쳐 가는 솜씨가 대단한 것일까? 사실 진주 귀고리 소녀를 보고 눈빛이 참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고는 생각했지만, 그 소녀가 베르메르의 하녀라는 것.. 그리고 은밀히 그 화가를 동경하고 베르메르 또한 이 하녀를 남다르게 생각했다는 것.. 등 까지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것은 작가의 독특한 상상력에 힘을 실어주는 여러 예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책은 작가의 독특하고 신선한 상상력 외에도 베르메르의 현존 작품 수십점을 함께 실어놓고 있어서 그에 대해 좀더 알고 싶은 독자를 위해서도 충분한 배려를 아끼지 않고 있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각각의 그림의 소장처가 없다는 사실.. 간략한 그림 설명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예를 들어《델프트풍경》는 헤이그국립미술관 소장,《편지를 읽는 여성》은 드레스덴미술관, 《우유 따르는 하녀》는 암스테르담국립미술관, 《터번을 쓴 소녀》(이것이 바로 진주귀고리 소녀이다.)는 헤이그국립미술관, 《레이스를 뜨는 소녀》는 루브르미술관 소장이다.

그리고 베르메르의 그림 경향이라든지 미술사적으로 좀더 깊은 논의를 원한다면 다른 책을 참고할 수 밖에 없다. 사실, 이 책은 여러 정황이나 남겨진 작품을 참고로 하여 작가가 상상의 나래를 펼친 소!설!이기 때문이다.

과연 베르메르같은 화가가 하녀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그림을 그렸는지 어쨌는지 어차피 후대의 우리들은 상상만 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