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가장 슬픈 오후
존 번햄 슈워츠 지음, 김원옥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레저베이션 로드’..

에단의 아들 조시가 뺑소니차에 의해 목숨을 잃은 바로 그 거리의 이름이다.
아들이 죽고 나서 에단과 그레이스는 여름이 지나 가을, 겨울이 와도 서로를 보듬어 주지 못한 채 하루하루 질퍽거리는 일상을 살고 있다. 물론 여동생 엠마 또한 아직 부모의 손길이 필요한 어린 아이이지만 거의 방치된 채 자책의 웅덩이를 파놓고 그 속에서 나날이 괴로워한다.

과연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사랑하는 자기 가족을 죽인 놈에 대한 복수? 응징?
주위의 따뜻한 시선, 위로해 주는 정감어린 말? 힘내라며 어깨를 다독여 주는 몸짓?
아니... 아마도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이 아닐까 싶다. 

여기.. 그 사건으로 괴로워하는 또 한명의 사내가 있다.
바로, 드와이트.. 조시와 동갑내기 샘의 아빠..
아이에게 최선을 다하고자 하지만, 아이와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는 또 한명의 아빠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결국 살인범이 되어 그 또한 에단 가족처럼 정상적인 삶의 궤도에서 벗어나 생활하게 되는데.. 

읽으면서 내내 작가가 어떤 식으로 결말을 맺어갈지 정말 궁금했다.
자식을 둔 입장에서 ‘나 같으면..?’, 혹은 ‘나라도..’. 라는 생각도 많이 했고..
‘여기 있긴 하지만, 또 여기에는 없는’ 그레이스의 상황도 이해가 갔다.
불쌍한 사람들..
이들의 모습은 점점 해체되어 가는 우리 가족들의 또 다른 모습인지도 모르겠다.
아들을 잃고 분노와 슬픔에 젖어 드와이트를 찾아 나서는 에단..
그러나.... 이미 조시는 이 세상에 없는데, 조시를 세상에서 사라지게 한 사람을 죽인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조시 가족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혀를 깨물고 죽을 정도로 가슴 아픈 상황이긴 하지만,
어차피 아무 소용이 없는 일인데.. 공평하지 않아도 옳지 않아도 어쩔 수 없는 것...

경찰에 자수할 거냐는 에단의 물음에.. ‘그렇소’라고 대답하는 드와이트.. 

“하지 마시오.” 경찰과 함께 있는 그의 모습을 상상해 보았으나, 그건 아무 의미가 없었다. 아무 것도 바뀔 게 없었다...
나는 걷기 시작했다....“어디 가는 거요?” 나는 걸음을 멈추고 돌아보았다.
“아들에게 가시오.”...나는 돌길 쪽으로 걸어 나갔다. 나는 멈추지 않았다. 그
를 눈덮인 그 산꼭대기에 홀로 남겨두고 그렇게 혼자 돌아왔다. (428p) 

어찌 그 정도를 잴 수 있겠냐만은 그 전까지는 아마도 에단이 더 죽음에 가까운 상황에 놓여있었다면,
이제 소설 밖의 상황에서는 단언컨대 드와이트가 죽음과 함께 살아갈 거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감히 어찌 감히 내가 그들의 심정을 손톱만큼이나마 짐작할 수 있을까. 

사무적으로 일을 정리하는 버크 경사에게 부르짖는 에단. 

“당신도 똑같은 일을 당했으면 좋겠소, 버크.”
“부끄러운 줄 아시오. 내가 이런 말을 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해보지 않았지만, 당신도 내 심정을 알려면 그 일을 당해봐야 하오.” 

--; 맞다.
겪지 않은 나로서는 그저 나한테 그런 미칠 듯한 상황에 놓인 적이 없다는 사실에 그저 무릎꿇고 감사할 따름...
읽기 전에는 그저 단순한 오락물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가족’에 대한 메시지와 나름 생각할 거리를 안겨주는 소설을 만났다.

이제 이 소설을 어떻게 영화에서 풀어냈을 지 사뭇 궁금해진다.

‘호텔 르완다’를 만든 감독이라니... 거기에다가 굵직한 연기를 보이는 여러 배우들...
과연 영화로 보게 될 기회가 나에게 오려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