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 내미는 촘마 동화는 내 친구 62
사이토 류스케 지음, 다키다이라 지로 그림, 김정화 옮김 / 논장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자의 후기에서 말하고 있다시피 이 작품은 여리고 약한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 깊이 스며들어 있는 작품이더군요. 이 책에는 모두 열다섯의 동화가 실려 있네요. 어떤 것은 아주 짧은 이야기로 되어 있어요. 그래서 그런 동화들은 마치 동시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독자 대상 연령이 섞여 있는 듯 한 느낌도 받았어요. 이 점을 배려했다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옛이야기 풍으로 써서 그런지 문체가 정감 있고 친근했어요. 

 <추운 엄마>는 우리나라 조선의 옛이야기를 새로 쓴 동화인데, 사이토 류스케가 다시 쓰면 이렇게 이야기가 새로워질 수 있구나, 이런 재미가 있구나, 무릎을 치며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옛이야기에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는 주제라 할 수 있는 ‘효’ 관념에 치우치지 않았다는 점,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한 동화로 남녀 간의 육체적 사랑을 당연하고 아름답게 그린 것이 좋았습니다. 이렇게 개성 있는 작품으로 다시 쓸 수 있었던 것은 사이토 류스케가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진 작가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겠지요.

표제작 <혀 내미는 촘마> 그리고 <노상 설날>을 가장 감동적으로 읽었습니다. <혀 내미는 촘마>에서 비극적 장면에서 따뜻한 감동을 끄집어내는 작가의 힘에 감동했습니다. 저한테는 뜻밖에 결말이었기 때문에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다시 읽어 보았답니다. 상반되는 상황, 따뜻한 인간의 마음과 인간의 비극적 결말을 같이 결합시킨 동화에 대한 낯설음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노상 설날>은 농민 봉기를 소재로 한 작품인데, 자칫 무거울 수도 있는 소재를 소박하며 따뜻하게 쓰고 있다는 점, 짧은 동화이지만 시간과 국경을 넘어서서 지난 시절 일본 민중의 고통을 지금 여기, 한국 독자에게 그것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다는 점이 훌륭했습니다. 바로 이런 것이 문학이 존재하는 수많은 이유들 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덴구의 웃음>도 참 좋은데 교훈성이 짙습니다. 더러 이렇게 교훈성이 많이 드러나고 있는 작품들도 보였습니다. 이 작품을 보면서, 동화 작가는 교훈과 떨어질 수 없는 존재이긴 하지만 그것을 드러내는 방식을 고민할 때 더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림은 다키다이라 지로가 맡았는데요, 다키다이라는 <모치모치 나무>로 저를 사로잡았던 작가입니다. 다키다이라의 독특한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것도 이 책의 좋은 점입니다. 기리에 기법으로 그림을 만들었다는데, 종이 오리기를 이용한 거라니, 번역자의 글에 그림에 대한 설명이 있어서 고마웠습니다.   

따뜻한 동화, 의미 있는 동화라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보여? 사계절 중학년문고 17
전경남 지음, 윤정주 그림 / 사계절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할머니가 되어서도 키득키득거리며 동화를 쓰고 싶다는(표2 작가약력)

전경남 작가의 귀신 이야기 <<내가 보여?>>는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믿는 고양이가 새로운 삶의 방법을 배우는 이야기이다.

누굴 통해? 귀신 승호를 통해.

귀신이야기가 이렇게 상큼하고 마음 찡할 수 있다니...!!!

또한 이 작품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엄마와 아이의 관계에 대한,

대한민국의 열공주의에 대한 보고서이기도 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スタビ 2011-06-15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으로 서두에 보여드린 이미지는 디자인로그의 포토샵 강좌 게시물을 운영 중인 페이스북 'Design' 페이지로 공유한 모습입니다. 아주 깔끔하게 링크 업데이트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겁니다. 여러분도 페이스북 '코멘트(commets)' 소셜 플러그인을 완벽하게 설치하셔서 많은 페이스북 사
 
파란 문 뒤의 야콥
페터 헤르틀링 지음, 김의숙 그림, 한경희 옮김 / 낭기열라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마음속에서 스멀스멀 기어 나오는 이야기들을 참으로 잘 풀어내는 작가이다.

페터 헤르틀링의 작품을 읽다보면

아픔을 아픔 자체로 풀어낼 때

아름답고

건강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야콥의 아버지가 죽는다.

아버지가 없는 야콥은 별로 슬픔을 내색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야콥은 아버지가 죽고 나서

사람들에게 따돌림 받을 짓만 한다.

사람들은 모두 아버지가 죽어서 상처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말들. 그것은 오로지 말일뿐이다.

아버지가 죽은 야콥은

딕을 만나고 싶어 한다.

딕은 죽어버린 아버지를 대신할 수 있는

야콥만의 성인 남자이다.

순간, 야콥이 너무나 부러웠다.

성인 남자를 만난다는 것, 얼마나 설레고 멋진 일인가.

나는 청소년 보호 센터로 보내려고 엄마의 모습이

마음에 더 와 닿았다.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를 차 버리는 엄마야 말로 얼마나 리얼한가.

물론, 엄마의 도움으로 야콥은 성인 남자, 딕과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현실에서 죽어버린 아버지와 이별을 하고

새로운 성인 남자를 찾아낸다는 것,

바로 야콥이 자라고 있다는 것이다.

부럽다.

자기 안에 있는 존재들이 죽고 없어지고

새로운 존재들을 만나지 못한다면

피터팬처럼 고독해 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손으로 말해요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36
프란츠 요제프 후아이니크 지음, 베레나 발하우스 그림, 김경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기 손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아이들이 있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는 편견이나 장애인이라는 말들을 통해 그 자체에서

구별, 차별의 의미를 만들어낸다.

소외된 이웃 운운하면서 삶이 다른 이들을 쉽게 대상화한다.

이러한 것들을 깨어나가는 것이 진보가 아닐까.

나는 어린이 책이 담고 있는 ‘진보’에 관심이 많다.

나와 같은 독자라면

《우리는 손으로 말해요》을 권하고 싶다.

이 책에는 풍부한 정보들이 담겨 있지는 않다. 그러나 ‘손으로 말하는’ 것의 의미

손으로 말하는 사람들, 손으로 말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 그 방법 그리고 기초적인 손짓 언어의 정보 따위에 대해 따스한 시작으로 풀어내는 논픽션이라는 점, 그 점이 이 책을 매우 흥미롭게 하는 부분이다.

논픽션 《물 한 방울》에서와 같이 《우리는 손으로 말해요》는 있는 그대로 섬세하게 보여주는 논픽션의 덕목을 잘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받은 편지함 힘찬문고 38
남찬숙 지음, 황보순희 그림 / 우리교육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가 울기는 오랜만이다.

있을 법한 이야기들이다. 우리 일상의 줄거리를 따라간다.

그런데 이 작품은은 그 중간 중간

사람을 울리게 하는 힘이 있다.

그 힘에 매료 당하고 나면,

한껏 이야기에 빨려 들어가

울다, 걱정하다, 웃다

책을 덮고 나니

게운하고 맑은 느낌이 든다.

이 책은 느낌으로 말할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책을 덮고 나서 이렇게 맑은, 기분 좋은 느낌은

마치 좋은 그림책을 읽었을 때 드는 느낌과 똑같다.

삽화도 글의 느낌과 아주 잘 어울린다.

소박하면서도 독특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