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학교 아이들
커티스 시튼펠드 지음, 이진 옮김 / 김영사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기대를 갖고 보았던 것이 아니어서 그런지 오히려 실망이란 느낌이 들지 않았다.

리, 라는 주인공 소녀를 따라가면 십대 소녀의 심리를 훔쳐보듯 빠짐없이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같은 책을 읽고서도 남성인 독자들이 그저 '성장소설의 하나'로 느끼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됐다. 그들은 소녀로 살아본 적이 없으니까.
 
사춘기 소녀들의 은밀한 성적 호기심, 약간의 허황됨, 가족 또는 친구에 대한 기대 등 정말이지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무엇보다 '리'는 '사립학교'라는 나름 특수하고 복잡한 환경에 속해있다.
'사립학교'라는 환경- 단지 이 환경이 보통 사춘기 소녀가 느끼는 것들 보다 더 복잡하고 심오하고
격정적이고 혼란스러운 생각(또는 고민)을 하게 만들고, 경험을 겪게 되고,
'성인이 된 리'가 어떠한 것들을 깨닫게 한다.
이 깨달음이란 사춘기가 지나고 성인이 되었을 때 조금만 관심을 갖고 자신을 들여다보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그런 류이지만, 의외로 깨닫지 못하는 이들이 더많다는 것도 아이러니다.

'사립학교'의 아이들, 교사들, 직원들, 그 곳의 가시적인 혹은 보이지 않게 자리잡은 사고(또는 문화)까지, 이 모든 것들(학업, 성취, 연애, 우정, 미묘한 인종에 관한 문제, 물질적 배경(부))을
예민하고 예리한 사춘기 소녀의 눈으로 바라보고 나타낸 것이다. 놀랄만큼 정확하게. 
 
익살스럽게 '사춘기 소녀들의 심리에 대한 바이블'이란 예명을 붙여
지인들에게 추천도 하고 선물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을 안고 있었다 12
니타 유카 지음 / 현대지능개발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클램프 作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소장 수집 중인 책이다.

니타 씨의 작품은 그림체, 스토리 모두가 마음에 든다. 개인적 취향으로 몹시 코믹하다거나 매우 진지하기만 하다거나('진지함'자체는 좋아하나 장르상 지나치면 무겁기만하다) 그저 야하고 과격한 책은 싫어한다. 어디까지나 개인적 취향이다.

그런 면에서 니타 씨의 스토리는 코믹과 진지함과 섹시함이 적절한 배율로 조합된 최고의 작품이다. 좋아라. 그림체 역시 딱, 스타일. 지나치게 가늘거나 남성성을 무시한 캐릭터와 선은 싫어하는지라. 그래서 멋진 니타 씨의 주인공들. 회가 진행될 수록 약간의 변화가 보이기 시작한다. 흠...왜인지 담백한 분위기는 1편이 최고지. 7,8회의 경미한 변화들을 거쳐 12회에서는 오! 주인공들의 내적 변화가 외적 변화로 나타나는데,,,좋다. 여전히 좋은데, 더이상 샤프해지지는 않았으면 하는 개인적 바람 정도.

아, 안타까운 것은 역시 최근의 12편은 손질이 제법 줄어들어 안타까움이 적다. 그러나 1편부터 쭈욱 나머지 회는 너무 손질이 많이 되서, 쯧, 한국어판의 한계일 수 밖에. 언젠간 원서로.....니타 씨의 섬세한 표현을 오롯이 보려면-. 그나저나 다음 회는 언제나 되야 나오려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1-21 18: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지음, 김욱동 옮김 / 문예출판사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성장소설'로 일축하기엔 굉장히 훌륭한 책. 두고두고 읽어도 생각할 여운을 남기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 소녀를 사랑하다 올 에이지 클래식
낸시 가든 지음, 이순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각설하고,,

'긍정적인 결말' 이라는 점에는 확실히 별5개 짜리다. 게다 그 긍정의 결말이 허무맹랑하고 팔랑거리지 않아 오히려 읽은 독자가 뭔가 조금더 스토리를 진행시켜보아도 될 듯하다. 단지 지면상의 끝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내용의 '깊이' 면에서는 감점이 된다. 읽고 난 후의 여운이 모자란 감이 있다. 길게 남는 여운이나 확실한 결말을 기대하기 보다는

이 책을 읽고 조금이나마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감정들에 대한 시각의 폭이 넓어졌다거나, 적어도 그들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았다면, 이 책은 제 할일은 한게 아닐까 싶다.     

정리하면, 이 책은 한 번쯤 읽어보면 좋다.

동성애를 바라보는 시각이 편향되지 않았다는 이유. 무엇보다 이를 옳다 그르다의 잣대로 판단할 성격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해까지는 바라지않아도 말이다. 그리고 이야기 속의 두 소녀들의 환경은 나름대로 현실적이다. 그래서 두 소녀가 각각 그리고 함께 느끼는 두려움과 걱정, 감정의 여정 등은 오히려 청소년들이 동성애를 조금이나마 현실감각을 갖고 바라보게 할 수 있을것도 같다. '사랑의 여러 형태 중의 하나'라는 것을 인정하게 되면,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고 '연애'를 할 때의 보편적인 모습들을 찾고 뭔가 깨달을 수도 있을 게다. 

 뭔가 대단히 심오하고, 복잡하고, 화려한 스토리는 아니다. 오히려 그렇지 않아서 현실성있게 느껴지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적어도 이 독자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