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 박물관으로의 여행 - 이렇게 특이한 악기 봤니?
세계민속악기박물관 지음, 심승희 그림 / 현암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주변에 음악이 없다고 하면 아마 세상은 공허하다 못해 차갑게까지 느껴질거에요.

그만큼 악기는 인간의 감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겠지요.

그래서 누구나 한번즘은 악기 하나 제대로 다뤄보고 싶어 공부도 하고 노력도 해 보게 됩니다.

또 많은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적어도 악기 하나정도는 다뤄야 하지 않겠어라고 하며 자녀들에게 권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정작 대부분의 사람들은 악기에 대해 잘 알지 못할뿐더라 자세히 알려 하지 않는 것 같아요.

예를들어 피리를 알고는 있지만 피리와 닮은 다른 악기들은 알지 못하고 피리의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는지에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관심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심지어 어떤분들은 피리가 관악기인지 현악기인지조차 구분을 못하는 분들도 계실거에요.

얼마전 tv에 방영된 드라마를 보면 일반 서민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통해 사람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드라마가 있었어요.

거기에 자주 등장했던 악기 중 하나가 아마 플룻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그 플룻을 눈여겨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플룻은 금관악기라고 생각을 할거에요. 하지만 플룻은 목관악기가랍니다.

우리의 잘못된 상식 그리고 플룻이 왜 목관악기에 해당하는지는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거에요.

이책은 이처럼 우리가 모르는 악기에 대한 정보들을 가득 제공하고 있답니다.

예를 들어 악기가 생겨난 배경, 또는 악기와 관련된 비화, 악기의 종류, 또 세계는 넓다 하지만 비슷하게 생긴 다른 악기들을 보며

세계는 그리 넓지 않다는 생각까지 하게 만들었으니까요.

앞서 이야기 한 것 처럼 악기에 대한 소개가 가득하다면 혹시 책이 지루하지 않을까라는 염려를 하시는 분들도 계실거에요.

하지만 그것 역시 오해와 편견이더군요.

우선 비화를 통해 악기의 유래등을 설명하기 때문에 무척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답니다. 신들의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전 깜짝 놀랬답니다.

여기에 동물이나 사람뼈로 악기를 만들었었다는 이야기에는 이걸 어떻게 사용할 수가 있었을까 하는의문도 들더군요.

또한 책속에는 실사 사진이 가득하답니다.  모양은 비슷하지만 다른 악기들을 하나 하나 보여주는 것은 마치 악기 박물관을 책을 통해 보여주는 듯 했어요. 단지 아쉬움이 남는다면 그 악기의 소리를 들을 수 없다는 것이지요.

여기에 체계적으로 구분을 해 놓았네요.

총체적인 악기의 이야기가 들어가고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건반악기등을 종류별로 또 실사사진을 통해 보여주니까 무척 흥미롭더군요.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악기이야기를 통해 악기에 대한 전설을 보여주니 왠지 옛 이야기를 다른 사람 모르는 상식을 배우는 것 같아 기분까지 좋아지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