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우와 토끼가 잘자라고 말할 때
카트린 쉐러 글 그림, 고은정 옮김 / 예림당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토끼와 여우...
둘의 관계는 누구나 알듯이 상극 관계일거에요... 먹고 먹히는 먹이 사슬속에 있는 관계~
때문에 토끼는 어느 순간에나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요~
이 책속에 등장하는 아기 토끼 역시 마을을 보고 있다가 여우에게 딱 걸려들고 말죠~
여느 토끼라면 어찌 되었을까요~
그대로 여우의 커다란 입속으로 들어갔겠지요~
하지만 책 속의 아기 토끼는 그렇지 않답니다. 바로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의 영리한 아기 토끼이거든요..
토끼는 재치있기 위기의 순간 순간을 넘기죠...
처음엔 마을을 이름으로...
이 마을에선 여우가 토끼를 그냥 잡아먹어서는 안 된대요~
두번째는 인사를 안했기 때문에...
이 마을에선 여우가 토끼를 잡아먹기 위해선 우선 "잘 자!"라고 인사를 해야 한답니다.
세번째는 이야기를 들려줘야 해서...
이 마을에선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 이야기도 들려줘야 한대요~
마지막으로는 자장가를 통해서
이 마을에선 아기 토끼를 침대로 데려다 준 후 자장가까지 불러 줘야 한답니다.
하지만 자장가를 부르는 도중 여우가 잠이 들어 버렸어요.
그리고 토끼 엄마 아빠가 들어오시죠~ 상황은 정 반대가 되어 엄마 아빠는 여우를 죽이려고 하지만...
재치있는 아기 토끼는 엄마 아빠에게 말합니다.
여우를 죽여서는 안된다고.. 이 마을은 여우가 토끼가 잘자라고 하는 마을이기 때문에... 결국 여우는 잘 묶여서 토끼굴 바깥으로 내보내지요~
이 책은 여러가지 재미를 주는 것 같아요~
여우의 입 크기에 딱 맞는 아기 토끼의 모습... 그래서 여우가 잡아 먹으려고 입을 크게 벌리면 토끼는 그 안에 딱 맞지요~
공포의 그 순간이 그림으로 아주 잘 표현되어 있답니다.
또 여우와 토끼란 두 주인공을 통해 약하지만 자신의 입장을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토끼의 모습과 그 모습에 쩔쩔매는 여우의 모습을 통해 아이들은 또 다른 재미를 찾고 교훈을 찾는 것 같아요!
당당하라, 그리고 신중하라, 마지막으로 침착하라~
바로 이 책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는 이 세가지가 아닐까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