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에 번쩍 - 기와장이 삶을 가꾸는 사람들 꾼.장이 3
유다정 지음, 권문희 그림 / 사파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는 기와집이 참 많았는데 요즘에는 기와집 찾아보기가 힘든 것 같아요~

민속마을 민속촌 이런곳에 가야 기와를 구경할 수 있지요~

생각해 보면 기와만큼 멋스러운 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살짝 비켜진듯 날렵한 몸매를 자랑하는 기와 그리고 악귀를 물리치기 위해 만들어진 그 모양새 말이죠~

이렇듯 우리 조상들은 기와 한장 한장에도 수많은 정성과 의미를 담아뒀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그렇게 태어난 도깨비 기와가 자신에게 혼을 넣어준 기와장이 아저씨께 은혜를 갚는 내용이에요~

상상력이 아주 기발한 옛이야기지요. 전래동화와는 또다른 느낌의 옛이야기로 아이들이 이야기속에 폭 파 묻히더군요.

주인공 동에번쩍이는 용마루 끝에 사는 도깨비 기와입니다.

어느날 잠을 청하는데 왠 처녀의 울음소리가 들리지요~

처녀는 정화수 한잔 떠 놓고 산신령님께 돈이 우리 아버지 살려 달라고 비네요~

아버지가 아파도 돈이 없어 살릴수가 없다며 울고 있는 처녀...

그때 방안에서  앓는 소리가 나고 동에번쩍이는 궁금한 맘에 방 안으로 따라 들어갑니다.

그곳에는 삐쩍 마른 노인 하나가 잔기침을 하고 누워 있는데 자세히 보니 바로 동에번쩍이를 태어나게 해 준 아저씨였어요~

동에번쩍이는 아저씨를 살려주기로 하지요~

그리고 나뭇잎을 엽전으로 만듭니다.  여기에서 동에번쩍이의 노래가락이 참 재미있습니다.  기와장이 아저씨가 하느일에 가락을 붙여서 동에번쩍이는 열냥 열냥 만들지요~

그럼 동에번쩍이의 노래가락 한자락 올려 볼까요~

"알라미 깔라미 또 깔라리"  아무래도 기와장을 까는 노래같지요... 아이들은 이 노래에 한참을 키득거리며 따라하네요!

"고맙고 고마운 우리 아저씨

찰딱찰딱 찰진 흙 찾아 이 논 저 논 다니느라 고생했으니 열냥!

자국걸음 지고 와서 마당에 쌓느라 고생했으니 열냥!"

어때요...

노래가락속에 아저씨가 동에 번쩍을 만들때의 정성이 그대로 묻어나지요~

동에번쩍이의 노래가락은 계속됩니다.

"고맙고 고마운 우리 아저씨

뜨겁게 가마 달구느라 잠 못 자고 고생했으니 열 냥!

가슴에 품어 따뜻한 혼을 불어 넣어 주었으니 열 냥! 모두 백냥이오"

흙에서 시작해서 굽기로 그리고 기와가 되는 과정 그리고 장인의 혼을 모두 담아 노래가락이 흘러 나옵니다...

아이들은 노래가락에 맞춰 자연스럽게 기와 만드는 일에 동참을 하네요~

그렇게 만든 엽전 백냥을 동에번쩍이는 처녀에게 살짝 던져줍니다.

처녀는 어디서 엽전이 생겼나 하고 둘러보다 저 멀리 사라져 가는 동에 번쩍이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동에번쩍이가 어디에 사는지 확인을 하게 되지요~

며칠 뒤 동에번쩍이는 아저씨가 어떻게 되었나 집으로 찾아가지요~

아저씨는 약을 먹고 기운을 차리게 되고 어떻게 돈이 생겼는지 궁금해 합니다.

처녀는 그간의 일을 이야기 하고 아저씨는 은혜에 보답하고자 메밀묵을 대접 해 드리기로 하고 한죽 가득 쑤어 기와집에 가게 됩니다.

하지만 기와집에선 은혜를 베푼 사람이 없다네요.. 어쨋든 써 온 메밀묵 아저씨와 처녀는 그곳에 메밀묵을 풀어 놓습니다.

어찌나 많이 쑤어 왔던지 기와집 사람들이 다 먹고도 한그릇이 남네요~

아저씨는 기와를 가만히 쳐다보다 옛 생각에 빠집니다.

자신이 예전 기와를 만들던 시절요~ 기와를 다 올리면 집주인이 성대한 잔치를 열어주었던 생각 그러면서 다시 기와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생각까지...

아저씨는 생각에 잠겨 기와를 올려보다  용마루 끝에 있는 기와가 아저씨를 보며 웃고 잇는것을 봅니다. 그리고 오래전 혼신을 다해 만들고 이름까지 지어 준 도깨비 기와 동에번쩍이를 알아보게 됩니다.

"동에번쩍아, 너였구나! 고맙다 맛있게 먹으렴" 아저씨는 담장위에 메밀묵 한 그릇을 올려 놓습니다.

그리고 동에번쩍이와 아저씨는 뜨거운 포옹을 하지요~ 밤이 되자 아저씨는 집으로 갈 일을 걱정하는데 동에번쩍이가 도깨비불로 아저씨 갈 길을 밝혀 주네요~

이 책은 이야기도 재미있지만 할머니가 들려주는 듯한 구어체가 책을 읽는 재미를 더 해주는 것 같아요~

여기에 책을 읽으면서 가슴 찌릿찌릿한 감동을 전해 주는 것 같습니다.

또한 중요한 문장에는 크고 굵은 글씨로 강조를 두어 아이들이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기 만들어 주기도 하였고 그림 역시 우리 고유의 그림이 담겨 있는듯해서 편안히 볼 수 있었답니다.

여기에 기와장이 이야기가 담긴만큼 기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담겨 있어요~

도깨비 기와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했으며 어떤 변천사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 조상들에게 기와가 어떤 의미로 있는지 자세히 알 수 있었답니다.

또 아이들에게는 우리 민족 문화의 우수성을 자연스럽게 들려줄 수 있는 시간도 되었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정말 재미있게 보는 것 같아 참 만족스러운 책이었어요~

 

"알라미 깔라미 또 깔라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