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각색 이야기로 피어난 꽃
하늘매발톱 지음, 유승희 그림 / 가교(가교출판)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이제 초겨울이네요.

아마 이 시절에 피는 꽃은 아마 몇가지 안될 것같아요. 그중에서 기억나는 꽃이 있다면 국화 정도..

이 책에는 안 나오지만 북극에도 꽃이 핀다고 합니다.

어쩜 꽃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강한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이 책속에는 다양한 꽃이야기가 나옵니다.

첫번째 나오는 꽃은 목련이다. 책을 읽으며 신랑에게 이야기한다. 목련은 상상 북쪽으로만 꽃이 향한다네? 목련을 집안에 두면 습기가 사라진대. 몰랐는데 향이 그렇게 멀리까지 퍼진다네 이 향으로 인해 목련의 종자를 들쥐나 두더쥐가 많이 파 먹는대.

콧물이 나오는 아이한테 목련이 참 좋다는데.. 우리 딸아이에게도...

어쩜 우리 주변에 있는 꽃인데 이렇게도 몰랐는지.. 또 책속에는 목련과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한다. 북쪽나라 바다지기를 사랑한 공주의 이야기가 등장하네요. 애처로운 죽음 그 때문에 발생한 또 다른 죽음 그리고 뒤늦은 후회의 이야기..

두번째 나오는 꽃은 봄에 이곳 저곳에서 볼 수 있는 진달래에 대해서 나옵니다. 화전과 진달래 꽃이 어떻게 피어 났는지 진씨가문의 딸 달래의 넋이 진달래가 되었다네요~

세번째 는 매화 지조 있는 선비들의 상징이죠. 초봄이 오기전에 피는 꽃 그 매화를 지키는 휘파람새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 할 수 있는 꽃이었어요~

네번째는 민들레 민들레는 원래 하늘나라 별이었다죠? 밟아도 밟아도 다시 일어나는 것은 바로 속이 빈 꽃대 때문이라고 하네요~

다섯번째는 할미꽃 아마 많은 아이들이 할미꽃의 전설은 들었을거에요. 다시 읽어봐도 맘이 쏴 해지네요. 그런데 할미꽃은 양지바른곳을 좋아해서 무덤가에 많이 핀다네요.

여섯번째는 꽃중의 꽃 장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장미가 언제부터 사람들 손에 키워졌는지 역사적인 사실까지 이 책속에는 등장하고 신화 속 이야기도 나오네요. 그리고 마녀로 화형당할 뻔한 소녀를 살린것이 바로 장미라네요.

일곱번째는 연꽃 연꽃이 왜 불교와 깊은 관계인지 이 책속에 자세히 소개가 되어 있어요. 그리고 꽃 이야기에선 사람의 욕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게 되는 이야기가 나와 있어요~

여덟번째는 봉선화 이야기에요. 봉선화와 관련된 고려말 충선왕의 이야기는 후손으로 마음아픔이 가시지 않네요. 봉선화는 왜 그리 슬픔과 많이 연관되는지.. 일제 점령기 나왔던 봉선화란 노래 역시 마음을 아프게 하잖아요~

아홉번째는 우리나라 꽃 무궁화에 대한 이야기 무궁화가 어떻게 국화가 되었는지 그리고 어느 시대부터 무궁화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가슴에 있었는지 이야기가 나와 있어요. 그리고 욕심을 부리다 결국 손해를 보게되는 부자 이야기도 소개되어 있고요.

열번째는 가을의 꽃 국화입니다. 중국에서는 9월 9일 중앙절에 국화주를 마시며 장수를 기원한다죠. 그만큼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그 중앙절의 유래가 소개되어 있어요.

마지막 열한번째는 동백꽃 이야기입니다. 유배를 간 청년과 유배지에서 만난 처녀 둘은 사이좋은 부부였는데 도적으로 인해 아내가 바다속으로 빠져 죽었다네요.

여태 몰랐는데 동백꽃이 절개의 꽃이었다니...

다양한 이야기로 꽃을 소개해주니 이제 조금은 꽃을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