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이순원 지음 / 뿔(웅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에게 있어서 자연이란 어떤걸까?
자연이 생각하는 사람의 모습은 어떤걸까?
이 책은 나무로써 나무가 살아가는 인생속에 사람을 그려 넣은 책이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처럼 나무에게도 그 생명이 있다.
자신의 뿌리를 준 사람에 대한 그리움 속에서 어쩌면 이 이야기는 시작될 지 모른다.
한 겨울
겨울 잠속에 두 밤나무가 깨어난다.
하나는 할아버지 나무고 하나는 그 나무에서 떨어진 열매의 나무에서 다시 또 열매가 되어 싹을 맺은 나무...
한 나무는 거의 백년을 넘게 살고 한 나무는 이제 7해를 살았다.
살아 있는 사람처럼 7해를 산 어린 나무에게도 궁금한 것이 많다.
할아버지가 어떻게 거기에 심겨졌는지 그리고 자신은 또 어떻게 태어났는지..
먼 시절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자신이 그리워 하는 한 남자..
나무를 사랑해주고 친구처럼 지내주던 한 남자와 그의 아내 이야기가 시작된다.
13살에 결혼한 어린 신랑 그리고 그보다 한살 어린 어린 신부는 이른 나이에 한 집안의 가장이 된다.
하지만 그는 너무나 가난했고 그에게 남겨진건 밤 나무 몇개 있는 민둥산과 초가집 한채 뿐이다. 그리고 그 해 가을 그에게는 5말의 밤을 수학한다.
보통의 사람들이라면 그 밤을 그해 먹을 곡식과 바꿀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하질 않았다. 그 밤을 그 다음해에 민둥산에 심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모두 손가락질 하지만 그들은 그일로 인해 먼 훗날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눠줄 수 있는 부자가 된다.
이 이야기는 그 사람의 인생을 엿본 할아버지 나무의 이야기이다.
그 사람은 밤나무뿐 아니고 집안에 많은 나무를 들인다. 논사이에는 닥나무도 싶는다.
이 책에서 가장 맘에 드는 문장이 있다면 아마 이 문장일 것이다. "나무는 아이들보다 빨리 자란다" 사람들의 조급함을 문장 한마디로 압축한다.
책 속의 내용에서 그 사람은 과실나무를 심으라며 많은 사람들에게 이 말을 해 준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실행하지 않는다. 오랜 세월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하지만 나무는 아이들보다 빨리 자라는 것이다.
이 책은 작가 이순원의 시골집을 배경으로 두고 이야기를 한다.
어릴적 추억이 생각나기도 하는 책이다. 어릴적 고모댁에 가면 앵두나무며 감나무며 여러가지 과실나무들이 있었다. 그것이 그렇게 부러웠는데..
또한 많은 교훈이 담긴 책이기도 하다. 어찌보면 나무의 인생을 다루었지만 그것은 바로 사람의 인생이 담겨져 있는 듯 하다.
마지막 할아버지 나무는 겨울잠 속에 그사람을 만나려 떠나지만 아마 나무는 자기의 소임을 다하고 떠나기에 행복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