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옹 창비시선 279
정호승 지음 / 창비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호승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이다. '포옹'이라니 제목부터 따뜻하다. 하지만 마냥 따뜻하지만은 않다. 세상을 보는 시인의 시선은 따뜻하지만 시인이 사는 세상은 따뜻하지만은 않다. 번듯한 직장을 구하고 싶어하던 청년은 군고구마를 굽고 있고, 지하철 역에는 머리를 푹 숙이고 손바닥만 내민 노숙자들이 살고 있다.

  청년은 지금 불 위의 고구마처럼 타들어 가고 있을 것이다 / 온몸이 딱딱하고 시커멓게 타들어가면서도 / 기다림만은 노랗고 따끈따끈하게 구워지고 있을 것이다 ('군고구마 굽는 청년'부분) 

   나는 그대의 불전함 / 지하척 바닥을 기어가는 배고픈 불전함 / 동전 한닢 떨어지는 소리가 천년이 걸린다 ('걸인' 부분) 

  어려운 세상을 살면서 세상의 그림자에 귀를 기울일수록 시인은 절창이 된다. 하지만 세상의 그림자에 귀를 기울일수록 시인은 마음이 아프다. 취재를 하려고 간 것이 아니라 시를 쓰려고 간 것이기 때문에 시인은 세상의 그늘에서 발을 떼지 못한다. 오히려 흠뻑 젖어 버리고 만다.

  강가의 물새 한 마리 / 물에 젖지 않고 / 순식간에 / 물에 뛰어들어갔다가 나온다 / 나도 물새가 되어 / 물에 뛰어든다 / 그만 흠뻑 물에 젖어 / 나오지 못한다 ('물새' 전문)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소박한 시인의 마음은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고뇌한다. 현실과 이상의  '틈'에서 상처받는 존재를 만난다. 

  살얼음 낀 겨울 논바닥에 / 기러기 한 마리 / 툭 / 떨어져 죽어 있는 것은 / 하늘에 / 빈틈이 있기 때문이다 ('빈틈' 전문) 

  이 시인 앞에서 세상의 모든 것, 심지어 화장실과 똥까지도 시가 될 수 있나보다. 신석기 시대의 한 부부가 서로를 꼭 껴안은 채 발굴된 사건의 현장에서 사람들은 자꾸 사진만 찍지만 그 부부는 알몸이 부끄러워 서로 꼭 껴안은 팔에 힘을 준다. 더럽고, 불쌍하다고 하는 것들이 부끄럽다고 뒷걸을칠 때 시로 그것들을 껴안아 주는 시인의 포옹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