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아시아는 정신을 못 차릴 정도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시아의 경제성장이 자유무역에 바탕을 두었다는 이야기는 허구다. 당시 말레이시아, 한국, 태국은 매우 보호주의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있었다. 외국인들은 토지를 소유하거나 국영회사를 매입할 수 없었다. 여전히 국가가 비중 있는 역할을 하며, 에너지와 운송수단은 공공부문에 있었다. 또한 국내 시장을 강화하면서, 일본, 유럽, 북미의 많은 수입품들을 차단했다. 분명 의심할 여지없는 경제적 성공담이다. 그러나 이는 잘 관리된 혼합경제가 서부시대식의 워싱턴 컨센서스를 따를 때보다 더욱 공평하게 급성장했다는 증거였다. 서구와 일본의 투자은행들과 다국적기업들은 이런 상황이 불만스러웠다. 아시아의 소비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자 그들은 당연히 제한 없이 상품을 팔기를 원했다. 또한 아시아 호랑이 경제의 최고 회사들을 매입할 권리도 원했다. 특히 한국의 대우, 현대, 삼성, LG 같은 눈부신 종합기업들 말이다. IMF와 새로 설립된 WTO의 압력속에서, 1990년대 중반 아시아 정부들은 정책 조율에 동의했다. 외국인이 국영기업을 소유하지 못하게 금지하는 법은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주요 국영회사들을 민영화하라는 압력에도 저항했다. 그러나 금융 분야의 장벽은 제거해야했다. 요컨대 환율거래와 증권투자를 허락한 것이다.
1997년, 단기자본의 물결이 아시아에서 이탈한 것은 서구의 압력으로 합법화된 투기성 투자의 직접적 결과였다. 물론 월스트리트는 그렇게 여기지 않았다. 최고의 투자 분석가들은 위기를 기회로 보았다. 아시아 시장을 보호하는 남은 장벽들을 단번에 제거할 기회 말이다.
(중략)
아시아 호랑이들의 몰락은 ‘두 번째 베를린 장벽의 붕괴를 상징했다. ‘자유시장을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적자본주의와 사회주의적 국가주의 사이에 제3의 길이 있다는 생각의 붕괴라는 것이다. - P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