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좋은 사람만 아는 설득력
히라다 다카코 지음, 곽현아 옮김 / 더페이지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은 정확했는데, 왜 마음은 닫혔을까요?
논리는 완벽했는데, 왜 고개는 가로젓게 될까요?

우리는 늘 ‘설득하려고’ 말하지만,
정작 ‘이해하려고’ 듣는 일은 드물어요.

사람의 마음은 숫자나 논리보다 훨씬 복잡해요.
표정 하나, 말투 하나,
그 속에 감정이 숨어 있거든요.

그래서 설득은 머리가 아니라 마음에서 시작돼요.
이 책은 그 단순하지만 잊기 쉬운 진실을,
조용하고 단단하게 알려줘요.



저자는 말해요.
“사람은 이성으로 판단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이미 감정으로 답을 내린다.”

정확한 문장보다 진심 어린 한마디가,
수십 장의 보고서보다 큰 설득력을 가질 때가 있죠.

우리가 원하는 건 정답이 아니라 공감이에요.
내가 느끼는 감정을 알아주는 사람,
그 한 명이면 마음은 쉽게 열린다고요.



:: 머리 좋은 사람만 아는 설득력 :: 은
감정을 움직이는 다섯 단계의 ‘예스 코드’를 알려줘요.

관찰하고, 공감하고, 신뢰를 쌓고,
욕망을 읽고, 행동을 이끌어내는 과정이에요.

그건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아니라,
사람을 이해하는 감정의 공식이에요.

말을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먼저 잘 들어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대요.
설득은 말하기보다 ‘듣기’에서 시작되니까요.



회사에서 발표할 때,
상사와 의견이 맞지 않을 때,
아이에게 ‘이해시키려는 말’이 통하지 않을 때,
결국 필요한 건 논리가 아니라 공감이었어요.

그걸 깨닫고 나면,
우리는 말투부터 달라지게 돼요.

‘이건 이래서 틀렸어’가 아니라
‘그럴 수도 있겠구나’로,
‘내가 옳아’가 아니라
‘너는 어떻게 생각해?’로 바뀌죠.

그 변화 하나가
대화의 분위기를 바꾸고,
관계를 바꾸고,
결국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요.



히라타 다카코는 이 책에서 말해요.
설득은 기술이 아니라 태도라고요.
한 번의 말로 끝나는 게 아니라,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이라고요.

작은 약속을 지키는 일,
상대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는 일,
이런 사소한 행동이 설득의 토대가 된다고요.

그걸 읽으며 생각했어요.
‘설득’이라는 단어 속엔
‘배려’라는 마음이 숨어있다는 걸요.



책 속의 예시들도 현실적이에요.
페브리즈 광고처럼 감정을 건드린 사례,
회의에서 상대의 불안을 읽는 장면,
상대의 욕망을 정확히 짚어 제안을 성공시킨 이야기들.

읽는 동안 ‘아, 이건 나한테 필요한 이야기다’ 싶었어요.
일에서만이 아니라,
가정에서도, 관계에서도,
누군가의 마음을 이해하고 싶은 순간마다 도움이 되겠구나 싶었거든요.



이 책은 머리로 이기려는 사람이 아니라,
마음으로 설득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책이에요.

감정 설득이란 상대를 조종하는 게 아니라,
함께 나아가게 만드는 힘이에요.

그래서 읽는 내내 따뜻했어요.
설득이란 단어가 이렇게 포근하게 느껴지긴 처음이었어요.



결국 머리 좋은 사람은
상대를 꺾는 사람이 아니라,
상대를 이해하는 사람이겠죠.

논리를 꺼내기 전에,
감정을 이해하려는 그 한 걸음.
그게 진짜 설득의 시작이에요.

오늘 당신의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이길 바라요.
그게 진짜 설득의 힘이니까요.


머리 좋은 사람만 아는 설득력 📚 많.관.부 :)



#머리좋은사람만아는설득력 #더페이지 #히라타다카코 
#설득의기술 #감정설득 #예스코드 #대화의힘 
#공감의언어 #직장인자기계발 #커뮤니케이션스킬 
#마음을움직이는법 #말보다진심 #설득력있는사람 
#책추천 #직장인필독서 #감정지능 #관계의심리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