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창조한 존재인 동시에 그전부터 존재했던 존재에 대한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통]을 읽었다. 누구든 사랑해본 이라면, 누군가를 맹렬히 마음에 담아본 이라면 적어도 한 번은 가슴이 일그러질 법한 이야기다. 특히 보편적인 짝사랑의 반투명지를 말없이 겹쳐보이는 마지막 장이 그렇다. 그거, 극도로 처절한, 사랑이구나. 몰랐어.

나는 왜 사랑에 급이 있다고 생각했을까. 아니 엄밀히 말하면 그렇게까지 자신을 낮추면서 연예인을 사랑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의아했고 그런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저렇게 초라해지고 싶을까하고. 하지만 앞뒤가 바뀐 것이었나 보다. 사랑하니까, 너무 사랑하게 되어버려서 자신이 그 사람 한 명에 대해 1/1000명만큼의 가치밖에 가지지 못해도 수긍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앞에서 내가 조금 작아지고 초라해져도 괜찮잖아. 사랑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을 포기한 것은 그날 거대한 신도시의 건물 사이를 돌다가, 막차를 놓칠까 반쯤 뛰다가, 명목상 심어둔 것처럼 드문드문 떨어져 서 있던 가로등 아래에서 흩날리는 가짜 눈을 맞았기 때문이다. 그때 코트 자락을 너무 세게 털어서, 무언가 같이 떨어져나갔기 때문이다. (p.70-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적으로 구성된 책의 의미, 권위를 벗어나 책이라는 사물과 직접 마주하고 냄새맡고 애무할 것.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로서의 독서 행위를 즐길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상은 책상이다
페터 빅셀 지음, 이용숙 옮김 / 예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앎과 무지, 경험과 관념, 실존과 텍스트의 거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