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퓨테이션: 명예 2
세라 본 지음, 신솔잎 옮김 / 미디어창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여전히 말피 공작부인이다." - 존 웹스터 <말피의 공작부인>, 4막 2장

2부에서는 마이크의 살인 혐의를 받고 있는 엠마의 본격적인 법정 공방이 이어진다. 용의자로 지목된 엠마의 모든 사생활이 밝혀지고 그녀가 쌓아왔던 명성은 하루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진다. 사건 쟁점을 정리하는 자리에서부터 엠마 측과 상대측 검사 소나는 날선 공방을 펼치고, 끝내 엠마 측이 불리한 쪽으로 기울어진다.

최근 불륜이나 바람, 갑질 등 위법적 행위는 아니지만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논란도 자주 발생한다. 그 예로 한 정치인이 유부녀와 호텔방에 있는 몰래 촬영한 영상이 보도되기도 하였다. 법적 책임은 없으나 이러한 일들에 대해서도 공인은 대중의 비난을 받는다. 대중의 외면이나 비난, 해당 업계에서의 퇴출까지도 그 책임으로 간주되지만 공인도 한 사람의 인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공인으로서의 엠마의 삶이 가혹하게 느껴졌다.

"미즈 웹스터는 마이크 스톡스를 잘 알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여러 건의 기사를 함께 만들었고, 술과 식사를 함께하던 사이였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수백 건의 문자가 오갔다는 점도 추후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사건이 있기 3주 전인 11월 17일, 두 사람이 저녁 식사를 함께 했고 이후 호텔에 들어가 성관계를 가졌다는 사실도요.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를 쫓고 있는 그에게 화가 났습니다. 명예가 실추될까 우려했습니다. 저희는 자신의 명성을 유지할 수 없을까 봐 고민하던 그녀가 그를 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p27

"존 웹스터의 복수를 그린 이 비극 작품은 프로그램 북만이 아니라 책도 있었다. 나는 <말피의 공작부인>을 읽으면서 공작부인이라는 높은 지위에 있는 인물의 성적 자율성을 조롱 받았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음한한 미망인. 매춘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죽음의 순간에 자신의 오빠들은 물론 스스로의 신분과 권력에도 짓눌리기를 거부했다. 그녀는 비난받았고 명예는 더럽혀졌지만 그럼에도 자의식만은 그대로 짓눌리기를 거부했다. 나는 여전히 말피의 공작부인이다. 그녀는 이렇게 선포했다." p47

"명예라는 건 가장 위태로운 무언가다. 오랜 시간 쌓아도 단 몇 초 만에 무너질 수 있다." p250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동안 석연치 않았던 부분이 밝혀지고 죽은 마이크가 알리려 했던 또 다른 진실이 밝혀진다. 재판이 끝나고 생각지도 못했던 반전은 깊은 여운을 주었다. 죽은 마이크가 알고 있었던 진실과 마지막까지 지키고 싶었던 엠마의 숨겨진 비밀이 밝혀지는 순간 우리는 누구도 믿을 수 없게 된다.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핫한 단어가 젠더 간의 갈등이나 여성 혐오에 대한 이슈가 아닌가 싶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올라가고 남성의 정체성이 불안해질 때 나타난다는 여성 혐오는 우리와 그들을 구분하고 그들을 타자화하여 부정적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다. 여성으로서 오랜 시간 정치부 기자로 활동한 저자 세라 본 역시 세계적으로 불거지고 있는 이 문제를 의식해 여성 혐오의 미러링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의식의 개편을 부탁하는 마음으로 이 작품을 써 내려갔는지도 모르겠다.

넷플릭스 방영 예정작인 <레퓨테이션>의 시청 전 원작을 읽고 시청하는 것도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