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에 관하여
정보라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에 관하여 생각해 본 적 있는가? 고통은 우리 몸을 보호하기 지극히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고통은 조직 손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고통은 우리의 의식적 통제 밖에 있는 뇌가, 우리가 위험해 처해 있음을 의식적 마음에 알리기 위해 내리는 결정이다. 즉, 고통은 뇌에서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뇌가 통증을 '만든다'. 우리의 뇌는 믿음과 기대로 통증이라는 경험을 조작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

중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완벽한 진통제의 등장으로 세상은 고통에서 벗어난다. 하지만 고통에 사라지자 오히려 고통을 추구하는 집단인 '교단'이 생겨나고 인간다움에는 고통이 필요하다며 제약회사를 테러한다. 테러 사건 이후 교단의 지도자들을 무참히 죽인 끔찍한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교단 소속의 폭탄 테러범인 무기징역수 태를 불러들이고 그를 둘러싼 교단과 제약회사에 대한 진실이 하나씩 밝혀지기 시작한다.

"회사는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새로운 약물을 연구하고 개발했다. NSTRA-14는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완벽한 진통제였다.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만큼 통증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중독성이 없다는 것이 가장 커다란 장점이었다."p26

"NSTRA-14의 등장으로 인해 고통의 개념은 신체적인 감각에 중점을 둔 통증의 범위로 축소되었다. 사회적, 문학적, 철학적, 정신적 의미의 고통에 대한 질문은 점차 사라졌다. 고통은 의학적인 문제였고, 의학은 과학기술과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고통은 약을 먹거나 주사를 맞거나 다른 방식의 시술 혹은 치료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고통은 견디는 것이 아니었다. 견딜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고통을 견딘다는 것은 그 자체로 정신병의 징후로 의심되었다." p29

"인간은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여 삶을 견딥니다. 고통에 초월적인 의미는 없으며 고통은 구원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무의미한 고통을 견디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생존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삶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인간은 의미와 구원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p285

태초부터 인간은 저마다의 상황과 방식으로 고통을 없애려 노력했다.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그 목적은 고통을 없애는 것이었다. 하지만 인간에게서 고통을 제외하면 과연 인간답다고 말할 수 있을까? 소설에서는 육체적 통증을 나타내는 고통뿐만 태가 경을 그리워하는 마음도, 경이 부모에게 받았던 마음의 상처도, 변해가는 욱을 지켜보던 민의 마음도 모두 고통이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헤어짐도, 영원한 것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 이 모든 게 인생의 고통이라는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이 모든 사실들을 이렇게 한순간 한순간 다시금 알게 될 때, 그 순간의 의미를 잊어선 안 된다. 인생의 고통이라 알던 것들이 다시 의미가 되어 낯설게 전해지는 일상의 교훈들로 우리는 여전히 인간다움을 간직하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