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연사박물관
이수경 지음 / 강 / 2020년 5월
평점 :
독서모임을 하다 보면 소설을 보는 눈이 달라 놀라곤 하는 일이 잦다. 한정된 틀 안에서 선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 아닐까 싶지만, 예상하지 못하게 돌출해 나온 그런 차이들은 숙려의 시간을 갖게 한다. 그래서 선택의 시간이란 자주, 독서모임에 임하는 동료들과 그들이 읽어낸 작가에게 배우는 시간이 되곤 한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각자 다른 취향을 가진 회원들이 골라낸 몇 권의 작품들이 올라왔다. 이미 각자의 안목에서 충분한 절차를 거친 작품들이기에 이 중 어떤 작품이 선택되더라도 이상할 것 없다. 그러니 이 작품들을 두고 생겨난 견해차란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니겠지만 그래도 서로 다른 생각들의 존재는 분명했고, 그 속에서 생겨난 차이들에 대해 생각하고 그 틈을 메워보느라 머리와 마음이 바빴다.
삶답지 못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문학
결국 모두가 선택한 소설은 이수경 작가의 '자연사박물관'이었다. 22년에 별세한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의 조세희 작가를 연상하게 하는 이 소설은 한국 사회의 약자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그들의 처지를 알리는 소설이다. 분쇄기에 손을 잃고 목을 매 자살한 방글라데시 노동자 아불의 죽음 그 부조리한 회사의 운영 방침에 노조를 만들고 파업을 감행하지만 회사가 고용한 용역 직원들에게 폭행을 당하며 결국, 해고되어 굴뚝에 오르고, 폭력을 일삼았던 아버지의 죽음으로 겨우 지옥을 벗어난 '나'가 기다리고 있던 것은 가난이라는 또 다른 지옥이라는 이야기, 회사를 상대로 승산 없는 싸움을 시작하려는 남편을 지지하면서도 생계를 걱정하는 아내의 심정을 담은 이야기도 조세희 작가가 그러했듯 우울하고 암울한 노동자의 세계를 다루고 있다.
"왜 손발을 그리지 않는 거야?" 낮에 재이에게 물었을 때 재이는, "그게 없으면 힘들지 않을 테니까, 실수도 안 할 테니까...."더듬거리며 말했다. p164
이수경 작가의 소설 속을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맥점은 다음의 두 가지이며, 그것은 이수경의 문학을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그 하나는 그녀에게서 소설을 쓰는 일이란 근본적으로 '어둠 속의 진실'을 밝혀내는 작업이라는 점, 그 둘은 그의 소설의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삶답지 못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그 '어둠'이 현실 혹은 삶에서의 정치, 경제, 사회적 의미의 부정적 측면들을 암시하는 것임을 간파하기는 어렵지 않은 일이고, 그렇게 볼 때 그 속에서 삶답지 못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계층 어떤 부류의 사람들인가는 너무도 명백하다.
기초 생활수급비 43만 원으로 생활할 수 없다며 연탄을 피워 자살한 60대 부부, 쌍용차 구조조정 때 희망퇴직했던 30대 남성이 자신의 차 안에서 자살하고, 생계를 이어나갈 수 없었던 한 여성은 안양의 월세방에서 숨을 거뒀다. 그녀는 이웃집에 " 저 쌀이나 김치를 조금만 더 얻을 수 없을까요?"라는 쪽지를 붙여놓은지 며칠 지난 뒤에 죽어 있었다. 그리고 강릉의 한 원룸에서는 대학생이 번개탄을 피워놓고 죽었다. 방에는 즉석복권 여러 장과 학자금 대출 서류가 있었다.
이들의 행동 밑바닥에는, 서민들 일반이 가지는, 정부의 정책이나 사회, 경제적인 상황 등의 외부적인 힘에 이리저리 휘둘리는 불안정한 생활 터전에 대한 불안감에 비례하여 품게 되는 외부적인 힘에 대한 절망이 담겨 있다. 현실에서 죽음을 선택한 이들도, 소설 안에서 등장하는 이들도 모두 절박한 현실에서, 생존 문제라는 하나의 공통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줄곧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에 관심을 보여온 이수경 작가의 <자연사박물관>은 가난한 소외 계층의 일상을 날카롭게 파헤침으로써 노동 문학으로 불리는 조세희 작가의 작품을 이은 우리 사회의 무력한 소시민의 입장을 대변하는 보석 같은 작품으로 남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