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조금씩 자란다 - 살아갈 힘이 되어주는 사랑의 말들
김달님 지음 / 미디어창비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견딤이라고 하지만, 그 이상의 슬픔과 고통을 참기 위해 안감힘을 쓰며 살아간다. 살아가면서 힘든 아픔을 주는 것은 인연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지만 반대로 그 인연에서 위로받으며 살아나가는 게 인생이다.


인생을 살면서 도저히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우연한 만남을 경험한다. 지금 일상을 함께 보내는 가족, 친구, 연인, 동료들도 한때는 너무나 뜻밖의 우연으로 시작되었고 그들 중 누군가는 삶을 함께하는 인연으로, 누군가는 중간에 헤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수많은 사람들과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되는 인생에서 우리는 어떻게 그들과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우리는 조금씩 자란다>에서 저자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느끼는 삶의 희로애락을 통해 그저 가까이 혹은 멀리에서도 함게 하는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을 알 때, 마음의 유대는 더 특별하게 유지되고 완성되어 간다.

"나는 그러한 순간을 누군가가 들려준 말과 이야기 속에서 만난다. 모두가 아는 유명한 사람이 아니라 살면서 어렵지 않게 만나는 주변 사람들의 말. 내게는 한 명 한 명 다르게 특별하지만 그 사람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이들이 더 많은, 결국엔 내가 아는 평범하고 특별한 사람들의 말." - 프롤로그

나이가 들고 사회생활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나는 그 가운데에서 바로 서는 법에 혼란을 느꼈다. 어디서 내가 나일 수 있으며 내가 나라고 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생각했다. 목소리를 높이고 내 색깔을 드러낼 때 나는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으며, 묵묵하고 순할 땐 쏟아지는 탁한 이야기들을 받아들여야 했다. 마치 그들의 세상 안의 오게 된 이방인처럼.

가끔 20년이 넘게 함께 한 친구 녀석의 짜증이 이해가 되지 않고 화가 날 때가 있다. 예전 같았으면 벌써 화를 내었을 법도 하지만 언젠가부터 상대방을 이해해 보려는 자신을 바라보게 된다. 나의 서툰 감정으로 인해 틀어진 안타까운 인연들이 아쉬웠을까 아니면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일상의 이런 익숙한 상처와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 낫게 될 것임을 알기에 무심해진 탓일까. 아무것도 아니다. 이렇게 저렇게 하면 나아질 거라는 자신만의 처방으로 상처는 더 이상 일상을 괴롭히지 않는다. 아프면, 안 아파지는 날이 올 거라 믿는 어른이 된 것이다.

"나는 그런 게 좋았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내가 어떤 삶들과 함께 살아가는지 구체적으로 감각하게 되는 순간이, 내가 모르는 인생이 이토록 많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 찾아오던 놀라움과 부끄러움. 그와 동시에 또렷하게 생겨난 삶에 대한 애정과 의지가." p91

지나간 시간에만 존재하는 기억과 추억. 추억은 기억보다 따뜻하다. 외워 저장된 기억이 아닌, 지나간 많은 시간 중 잊히지 않는 그 한 번, 한순간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시간인 추억은 따뜻하다. 소중했던, 애틋했던 추억들은 아주 작은 것이라 해도 결국 견디는 힘이 되어 줄 것이라 믿고 싶다. 특별함이 아닌 내 안의 사소함으로 행복했으면 좋겠다. 각자의 생의 시간으로부터 사소함을 꺼내어 배를 만들고, 사소함이 가진 의미로 돛을 만들어, 조금은 나은 미래로 고요히 흘러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