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하는 소설 창비교육 테마 소설 시리즈
안보윤 외 지음, 이혜연 외 엮음 / 창비교육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동물이다. 코로나19가 끝나가는 지금 우리의 일상은 빠르게 회복되어 가지만 끝을 알 수 없는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이기적인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다. 보이지 않는 곳에는 저소득층과 저기술 노동자, 돌봄 노동을 떠안은 여성과 자활하지 못하는 노인, 보호받아야 할 아이들까지 도움이 필요한 이들은 소외되고 방치되어 왔다. 적응하지 못한다고, 우리와 다르다고 차별하고 거리를 둔 것은 왜일까?

타인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 사실을 알고도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온전히 이해할 수 없어도 배려할 수는 있다. <공존하는 소설>에 실린 여러 이야기들로 타인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마음을 다시 한번 생각하며 열악한 환경에 놓인 이들에게 따뜻한 마음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만들어졌다.

소설집 '내게 무해한 사람'에 실려 있는 최은영 작가의 <고백>에서는 주인공 미주가 수사가 된 옛 애인 종은에게 평생 간직하고 있었던 아픔을 이야기하면서 시작된다. 누구보다 친했던 미주, 진희 주나 세 사람은 진희의 조심스러운 고백 후 틀어지게 된다.

"넌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으려 하지.

그리고 그럴 수도 없을 거야. 넌 내게 무해한 사람이구나."

완벽한 신뢰를 느끼며 말했던 '무해한 사람'이란 미주의 오만에서 오는 착각이었다. 그 사람을 완벽히 알고 있다는 착각에서 오는 안도감. 성소수자였던 진희의 고백 후, 무너진 그들의 관계에서 느꼈던 안타까움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자신의 비밀을 고백해야 했던 진희, 이해할 수 없었던 주나와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던 미주의 감정이 가슴을 울렸다.

김숨 작가의 소설집 '국수'에 실려있는 <고요한 밤, 거룩한 밤>에서는 한파가 들이닥친 밤에 한 노인은 죽은 아내가 데리고 온 개 한 마리와 차디찬 방안에 누워있다. 가스비가 두 달이나 밀려있고 보일러도 고장이 난 상태다. 방 안에서 온기를 내뿜는 것이라고는 아내가 데리고 온 그 개뿐이지만 절대로 가까이하지 않을리라고 다짐한다. 추위에 생명이 다해 가는 노인을 구하려 온기를 나누어주려는 개의 노력에도 결국 목숨을 잃고 만다. 전형적인 가부장적인 성격을 가진 이 노인이 아내가 데리고 온 개의 온기라도 받아들였다면 살 수 있었을까? 결국 그의 마지막을 지켜본 것은 인간이 아닌 하찮게만 생각했던 그 개였다.

"햇빛은 그의 방 창으로도 들이쳤다. 어둠과 냉기가 밤새 매몰차게 지배하던 방 안이 서서히 밝아 왔다. 개의 누렇고 가느다란 털이 그의 얼굴 위에서 떠다녔다. 천장을 향해 한껏 벌어진 그의 입은 좀처럼 다물릴 줄 몰랐다. 보온 밥솥에는 여전히 빨간 불이 들어와 있었다."

소설집 '마음에 없는 소리'에서 깊은 인상을 주었던 <공원에서>를 다시 읽게 되었다. 주인공 수진은 큰 키에 짧은 머리로 종종 남자로 오해받는다. 하지만 그녀가 느끼는 감정은 불쾌함보다는 남자로 인식되었다는 안도감이다. 최근 공원에서 한 남자에게 폭행을 당하고, 어린 시절에는 버스에서 추행을 당하며 여자로서의 삶이 만만찮음을 느끼게 되었다. 보호받아야 마땅한 자신의 상황이 유부남과 불륜 관계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과연 주위 사람들은 그녀의 편이 되어줄까? 반대로 비난하지는 않을까?

"남자로 오해당하는 건 괜찮았다. 때로는 안전하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성가신 건 내가 여자라는 사실이 밝혀졌을 때였다. 어떤 사람은 죽을 지었다는 듯 사과를 했는데 그것도 좀 웃긴 일이지만 그건 그런대로 점잖은 편이랄 수 있었다. 어떤 사람은 조언을 했다. 머리를 기르라거나 화장을 하라거나 좀 더 여성스러운 옷을 입어 보라거나 말할 때 솔 톤을 내는 것이 좋다는 식이었다."

내게는 당연한 행동이 타인에 대한 혐오일 수 있다. 어쩌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타인에게 약자에게 피해자에게 혐오를 드러내고 상처를 입히는 가해자 또는 공범자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사는 일상 곳곳에 공기처럼 차별과 혐오가 스며들어 있다.

모두가 평등을 바라지만, 마음만으로 평등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우리들은 서로에게 차별의 경험을 이야기해 주고 경청함으로써 은폐되거나 익숙해져서 보이지 않는 불평등을 감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 모든 일이 그러하듯 평등도 저절로 오지 않는다. 불평등한 세상에서 모두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