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름을 한 입 베어 물었더니 ㅣ 문학동네 청소년 66
이꽃님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8월
평점 :
"가장 눈부시게 찬란할, 우리의 열일곱 번째 여름"
강렬한 태양의 퇴약빛.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 그 위를 지나는 나뭇잎 스치는 소리는 계곡의 휘파람 소리로 돌아와 흐르는 땀을 씻어주고, 파고드는 산바람은 가슴을 서늘하게 한다. 날마다 조금씩 방향을 달리하며 붉은빛 고운 자태로 빛나던 저녁노을과 멀리 경부선 열차가 지나가며 남기던 아련한 기적소리는 아직도 귓가에 잔잔하다. 가슴 설레는 추억이 녹아있는 여름을 좋아한다. 이꽃님 작가의 <여름을 한 입 베어 물었더니>에도 가슴 설레며 기다리던 여름의 푸르름이 담겨 있었다.
시골의 푸르름과 활기가 담겨 있는 정주군이라는 가상의 마을을 배경으로 듣고 싶지 않아도 타인의 마음이 들리는 유찬과 평생 엄마와 둘이서 살아오며 유도를 하고 있는 지오. 이 두 사람의 시선으로 번갈아 전개된다. 화재로 부모님을 잃은 유찬과 어머니와 자신은 아버지에게 버려진 거라며 스스로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는 지오는 운명처럼 서로를 만나면서 각자가 가지고 있던 고유의 아픔을 꺼내놓는다.
같은 반이 된 지오와의 만남에 유찬은 가까이 있는 것만으로도 주의 마음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고요가 찾아오게 된다. 자신을 괴롭히던 마음의 소리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지오에게 호기심을 느낀 유찬은 지오 역시 자신과 같은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호기심이 아닌 다른 감정으로 바뀌게 됨을 느끼게 된다.
"고요가 찾아온다. 갑작스러운 고요에 멈칫, 곧이어 귀에서 삐- 이명이 울려온다. 온갖 소음들로 섞여 있던 공간은 침묵 속에 "미안."이라는 그 아이의 선명한 목소리만 남는다. 그 짧은 순간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영원같이 느껴져 그 아이가 내 옆을 스쳐 가고, 다시 소음이 들려오기까지 나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p24
서울에서 정주의 번영읍으로 전학 온 지오는 평생 얼굴 한번 보지 못했던 아버지와 만나게 되지만 무려 경찰의 모습으로 마중 나온 아버지의 모습에 더욱 증오하게 된다. 같은 반 유찬과의 첫 만남에 유찬이 떨어뜨린 에어팟을 밟아 부러뜨리게 되면서 유찬과의 인연이 시작된다.
"그깟 마음 좀 들린다고 다 아는 것처럼 굴지 마. 마음? 네가 들린다는 마음이 얼마나 가벼운 줄 알아? 사람 마음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바뀌어. 하루는 조금 괜찮았다가, 그래 내가 모르는 어떤 이유가 있었겠지 이해해 보려고 했다가, 또 하루는 미칠 것처럼 화가 나 죽겠다고."p57
유찬의 화재 사건을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숨겨진 진실과 자신을 버릴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의 이야기로 각자의 아픔과 마주하며 극복하게 되는 그들. 길을 잃지 않는 것, 방황하지 않는 것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현명한 방법이긴 하지만 길을 잃는 것 또한 길을 찾는 방법이라는 걸 느끼게 해주었다.
서로를 닮아 가고, 서로를 투영하고, 그런 서로를 대신할 수 있는 존재가 있어 불행의 어느 순간 앞에서도 괜찮아지기 위해 용기를 내고 오늘의 불행을 견딘다. 평범한 일상을 이어나가 '니가 있어서 다행이다'라는 최선의 말을 하게 하는 그 존재로부터 위로받고 보호받는 것이다. 서로의 아픔을 보듬으며 불행하다고 생각했던 아픔을 마주하고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되어주는 작은 위로들. 작가는 그런 따뜻함을 써 내려가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