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이 온다 창비교육 성장소설 10
이지애 지음 / 창비교육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아빠가 죽었대요. 엄마는 원래 없고 내가 죽으면 누가 올까 해서요."

그동안 부모 없는 인생은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지금껏 자신을 희생하신 부모님 덕에 어렵지 않은 인생을 살 수 있었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에는 부모가 당연한 전제처럼 있었다. 부모 때문에 행복하든 불행하든 말이다. 지금은 그것이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부모라는 말을 쓰기 전에 망설이고 주춤하게 된다.

부모라는 말 뒤편에 감춰진 고아라는 말을 떠올린다. 유년 시절 그룹홈에서 등교하던 친구의 이상하리만큼 밝은 성격을 생각하면 어쩌면 그 녀석 나름의 아픔을 감추고 있었던 건 아닌지 생각해 본다. 부모에게 버려지거나 부모의 죽음으로 혼자가 되어 버린 아이들은 어디에서 생활하게 되는 것일까?

부모를 잃은 아이들은 건강한 신생아의 경우 입양을 원하는 국내외의 가정에 보내진다. 그리고 3세 이상 18세 미만의 아이들 대부분이 학대, 이혼, 부모 사망, 수감 등의 이유로 각지의 고아원이나 그룹홈이라고 불리는 시설에서 자립할 때까지 공동으로 생활하게 된다. 18세가 되면 그룹홈에서 대부분 독립하여 생활하게 된다. 하지만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부모 곁에서 자란 아이들보다 뒤처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완벽이 온다>는 학대받고 부모에게 버림받아 그룹홈에서 함께 생활했던 민서, 해서, 솔이 자립하게 되고 사회의 역경을 마주하면서 서로를 의지하며 더 가족다운 삶을 살아갈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상처받은 그녀들이 진정 원했던 것은 무엇일까?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경제적 지원뿐일까? 그녀들이 대변하는 상처받은 이들이 진정 원했던 것은 아마도 주위의 관심과 애정이 아닐까.

애정을 필요로 하고 누군가를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사람에게 자연스러운 모습일 것이다. 인간이기 때문에 애정과 의존, 그리고 불안한 마음을 갖는 것은 가장 인간다운 모습이기도 하다. 그래서 인간이기에 꼭 필요하고 중요한 정서적인 요인들이 잘 채워지지 않은 유년 시절을 보내게 되면 좋지 않은 환경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아기가 태어날 때 누군가 그 어머니 손을 잡아 주었는가와 그렇지 않았는가, 세상이 모두 등을 돌렸을 때 어깨를 두드려 주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었는가와 없었는가는 하늘과 땅 차이다. 무너지는 슬픔 속에서 어색하게나마 누군가를 안아 주었다면, 그 사람의 생의 온도는 달라졌을 것이다.

이 이야기는 오래전에 시작되어 오늘도 계속되고 있는 이야기이다. 민서와 해서, 솔 등 소설 속 인물들이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을 대표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삶의 어느 순간에서 누구나 민서가 될 수 있고 민서에게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민서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과 관계 맺고 살아가기를, 그럴 수 있는 기화를 자주 만나기를 소망한다. P213 [작가의 말]

어떤 이유에서든 자식을 버린다는 그 무책임은 사회의 손가락질을 받아 마땅하다. 그런 짓을 저지른 부모가 마음 편하게 생활할 수 있는지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그러나 해마다 자식을 버리는 부모가 생겨나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이다.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며 자녀의 양육의 책임을 제대로 해내기 어려운 처지에 있다는 것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이 만든 소중한 자식만큼은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마음가짐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