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미완성 교향곡 - 문화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만드는가
케빈 랠런드 지음, 김준홍 옮김 / 동아시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종류의 식물로 뒤옆여서, 덤블에는 새가 지저귀고, 다양한 곤충이 날아다니며, 축축한 땅 위로 지렁이가 기어 다니는 얼기설기 얽힌 강 둔덕을 관찰하다가, 이처럼 서로 다르며 복잡하게 상호 의존하는 정밀하게 구성된 형태들이 모두 우리 주변에서 작용하는 법칙에 의해 발생되었다고 생각해 보면 흥미롭다. 그리하여 자연의 전쟁 및 기근, 죽음으로부터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고귀한 대상, 즉 고등동물의 탄생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졌다." - 찰스 다윈 [종원 기원]

 

 

 

진화는 적응과 자연 선택이라는 확고한 인과율에 의해 진행된다. 그렇게 단순한 법칙의 반복을 통해 생명계는 끊임없이 변하며 오랜 세월 엄청나게 다양한 생물들을 창조해 냈다. 그런데 가장 적응적인 개체가 자연 선택되는 과정을 통해 생물이 진화한다라고 한다면 39억 년이라는 엄청난 진화 역사를 거쳐 온 결과인 현재의 생물들은 거의 완벽에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할 것이다. 그런 오해를 가지고 보면 자연에는 우리의 추측에 맞지 않는 비합리적이고 설명하기 힘든 수수께끼들이 널려 있고, 생명의 진화는 불가사의한 미스터리로 생각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현재 진화론과 관련하여 진행되고 있는 주요 논의들과 일반적인 궁금증에 대해 대부분을 다루면서 진화에 대해 일반인, 그리고 생물학자들까지도 잘못 알고 있는 많은 오해들을 풀어 나간다. 그리고 인간의 특이성을 다른 동물들의 형질과 비교함으로써 이해를 돕고 인간의 인지와 문화를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비교는 인간 종의 성취를 보다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금의 인류에 이르는 진화적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아마도 독자들, 아니 모든 인류가 가장 궁금해 하는 내용이 실려있는 유전자 문화 공진화 챕터에서의 내용 중 흥미로웠던 점은 모든 사람이 오른손잡이인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과 기후와 주위 동식물과에 의한 유전적 변형(예를 들어 HbS대립형질)이 선호되는 조건을 구성하면서 급속도로 확산되는 생존을 위한 유전자 본능, 인간 식이의 변화에 따른 유전적 반응, 그리고 가장 매력적이었던 내용은 문화의 상호작용이 인간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언어와 문화의 차이가 인류의 유전자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는 내용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예술 작품이나 공연을 즉흥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간의 운동 조절 능력은 다른 어떤 동물에게도 없다. 인터넷에는 예술적인 동물들에 대한 사례와 유튜브 영상들이 넘쳐나지만, 이는 동물 행동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를 거친 것이 아니다. 반려묘나 반려견에게 그림 도구를 건네면, 그 동물들에게는 즐거운 경험이겠지만 예술적인 작품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붓을 쥐어준 다른 동물들처럼, 개와 고양이게는 재현 예술을 생산할 정도의 의향과 운동 조절 능력이 없다. 색색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어떤 추상적인 아름다움은 오직 애완동물의 주인에게만 보일 것이다."

 

 

인간을 뛰어 넘어 예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동물은 존재하지 않지만 지속적인 훈련으로 인간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인간처럼 음악의 박자에 동조화 할 수 있는 동물들의 소개도 흥미롭게 다가왔다. 조련사에게 훈련 받아 촉각으로 감각을 입력받고 그에 대응되는 동작으로 출력하는 교차 감각 신경망을 구축해 그림을 그리는 코끼리와 유튜브에서 춤추는 새들 중 스타가 된 '큰유황 앵무 스노볼'이 스스로 음악의 박자에 동조화하는 앵무새도 모두 유전자가 갖고 있는 신비한 힘인 것이다.

 

 

다윈은 유전자 선택이 결코 완벽을 만들어 내지 못하며 단지 현존하는 조건에 대한 적응에 따라 달라질거라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의 동물과 식물은 서로에게 적응하도록 선택되었다. 그런데 영국의 동물과 식물이 뉴질랜드에 도입되자 '완벽'하지 못했던, 칩입자들에게 적응하지 못한 뉴질랜드의 토착종들은 절멸해 버렸다. 인류는 매우 성공적인 종이지만 아직도 네발보행에서 두발보행으로의 신체 구조의 전이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인간 역시 완벽하지 못하다.

 

 

해마다 적어도 한 권 이상 신간이 제목에 다윈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고 있다.그중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생명의 탄생과 진화의 신비를 설명하는 책으로서 생물학적 설명만이 아닌 문화의 진화적 기원과 예술적 성취에 대한 설득력 있는 과학적 설명을 제공하는 책으로서 케빈 랠런드의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은 일반인을 비롯한 전문가에게도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