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그레이션 - 북극제비갈매기의 마지막 여정을 따라서
샬롯 맥커너히 지음, 윤도일 옮김 / 잔(도서출판) / 2023년 6월
평점 :
멸종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환경에 생명이 적응하면서 진화해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무수한 멸종과 대멸종 덕분에 우리 인류가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으며 지금은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 중이다. 대멸종은 멸종과는 차원이 다르다. 멸종이 빈자리를 몇 개 만들어서 새로운 생명을 등장시키는 기회라면 대멸종은 생태계를 완전히 빈 공간으로 만들어서 완전히 새로운 생명의 역사를 그려 넣을 일대 사건이다.
여섯 번째 대멸종이라고 뭐가 문제일까? 대멸종 또한 자연에 이치라면 받아들여야 하는 것 아닐까? 쉽게 말할 수 있겠지만 지구의 많은 사람들이 여섯 번째 대멸종을 걱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지난 다섯 번의 대멸종을 볼 때 최상위 포식자는 반드시 멸종하였고, 현재의 최상위 포식자는 바로 인류이기 때문이다.
"동물들이 죽어 가고 있다. 머지않아 우리는 이곳에 홀로 남겨질 것이다."
이기적인 인류가 저질러 놓은 환경 오염으로 대부분의 동물들이 멸종한 세상. 새를 연구하는 프래니는 지구상에서 가장 멀리 이동하는 생명체인 북극제비갈매기의 여정을 따라가기로 마음먹는다. 그녀는 북극제비갈매기 세 마리의 다리에 위치추적기를 다는 데 성공하고 자신을 남극으로 데려다줄 배를 찾는다. 하지만 어떤 배도 훈련도 안된 프래니의 여정을 거절했고 마지막 남은 배인 청어잡이 어선 사가니호를 찾아간다. 어린 시절 까마귀에게 특별한 애정이 있던 그녀는 '사가니호'가 까마귀를 뜻해 운명이라 생각하고 선장인 에니스를 만나 추적기를 단 새들이 물고기가 많은 곳으로 안내해 줄 거라며 말해보지만 그 역시 경험도 훈련도 안된 사람을 태울 수는 없다며 거절한다. 그럼에도 끈질긴 노력으로 에니스를 설득하게 되고 북극제비갈매기와의 여정이 시작된다.
소설은 프래니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그녀의 암울했던 삶을 그려나간다.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북극제비갈매기의 이동을 따라 남극을 가려는 프래니와 만선의 꿈을 꾸며 자신의 아이들을 데려올 희망을 품고 있는 선장 에니스와 일곱 명의 선원들은 위험천만한 항해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그녀의 어두운 과거와 북극제비갈매기를 따라가기로 결심한 진짜 이유가 밝혀지게 된다.
불행한 유년을 보내야 했던 프래니는 자신의 어머니처럼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방황하는 방랑벽이 있는 야생성을 지닌 사람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런 그녀와 북극제비갈매기의 운명은 그들의 여정 뒤로 펼쳐진 아름다운 풍경과 겹쳐지며 소설의 재미와 긴장감을 더한다.
"그들은 인간의 삶에 꼭 필요하다거나 생존 확률이 월등히 높은 생물 등 어떠한 기준에 따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동물을 우선으로 선택해야만 했다. 그렇게 인간에게 직접적인 필요도 없고 중요하지도 않다고 여겨지는 동물들은 아무런 희망도 없이 서서히 사라져 결국 멸종의 길을 걸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곤충이 높은 순위로 이들의 보호 목록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벌, 말벌, 나비, 나방, 개미, 몇 종의 딱정벌레, 심지어 파리도 있었다. 곤충 외에도 벌새, 원숭이, 주머니쥐, 박쥐도 있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꽃가루 매개체라는 것이었다. 식물이 없다면 인간 또한 멸종의 길을 걷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동, 식물들의 멸종이 심각한 대재앙으로 이어질지를 두고 과학자들의 의견이 나뉜다. 하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 우리가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이 조금 더 명확해진다. 대재앙이 '누구'에게 타격을 주는 것일까? <마이그레이션>은 가까운 미래의 모습이 될지도 모르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멸종한 디스토피아적인 세계를 그려나가며 지구상의 모든 생물의 소중한 삶의 터전인 지구의 소중함을 그려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