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와 파도 - 제1회 창비교육 성장소설상 우수상 수상작 창비교육 성장소설 8
강석희 지음 / 창비교육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나 여전히 우리 사회에 멀지 않은 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교 내 성폭력, 집단 괴롭힘, 데이트 폭력, 온라인 댓글 테러 등 사회적 폭력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며 많은 희생자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학교 내에서 자행되는 수많은 추행들. 교사라는 지위를 이용한 학생들을 향한 언어폭력은 상상을 초월한다고 한다.

제목만 보면 전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학교 내 성폭력과 폭력'을 다룬 성장 소설로 최지연 작가의 '이 와중에 스무 살' 이후 두 번째 창비 성장 소설이다. 가볍게 생각하고 집어 든 소설은 인물들의 상처가 외치는 말들이 내 가슴속 깊은 곳을 건드리며 시종 무거운 마음을 일게 만들었다.

온라인 수업 중, 교사의 말이 잘 안 들린다는 것을 집게손가락으로 표현한 선이는 주위 남자아이들에게 욕설과 비속어가 가득한 메시지를 받게 된다. 선이의 단짝 미주는 이 사실을 알고 자기 일처럼 화를 내며 함께 담임 선생님에게 사실을 알리지만 돌아오는 것은 마음에 없는 사과뿐이었다. 그들은 자신을 도와줄 교직원을 찾다가 체육을 담당하고 있던 무경을 찾아간다. 무경은 찾아온 둘의 모습이 낯설지 않음을 느끼고 자신의 과거를 떠올리게 된다.

국가대표 축구 선수를 꿈꾸던 '무경'은 같은 꿈을 좇고 있는 친구 '지선'이 자신들을 가르치는 코치에게 성추행을 당하게 되자 무경은 이를 바로잡으려 하지만 이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사회에 잔인한 냉대였다. 축구를 그만둔 무경은 태권도로 전향해 다른 도시의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고 같은 시기에 학교 폭력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는 예찬과 도장에서 만나게 되고 그와 가까워진다. 무경의 자치방 옆에 살고 있던 현정은 교사의 성폭력으로 고통받고 있는 친구를 도운 경험이 있는 무경과 가까워지고 무경을 좋아하는 황동수와 사귀고 있던 '서연'이 데이트 폭력을 당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되고 아픔을 가지고 있던 그들은 매년 열리는 유서 깊은 유등 축제를 이용해 서연의 데이트 폭력 사실을 알리게 된다.

"지선은 자신을 원망하는 쪽을 택했다. 그게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때의 지선이 상상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벌을 주고 사과를 받아 낼 용기는 나지 않았으니까. 모든 것을 자신의 잘못으로 돌리면, 그다음엔 자신을 용서하기만 하면 되니까. 잘못한 것도 나, 용서하는 것도 나, 용서받는 것도 나, 그것으로 끝. 그러나 지선은 자신을 용서할 수 없었다. 지선의 마음 깊숙한 데서부터 무너졌고 축구를 그만뒀고 무경 앞에서 다쳤고 아무도 몰래 죽으려고 했다."

가장 안전하고 건전한 곳이어야 하는 '학교'라는 곳에서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사건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생겨나고 있다.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대로 된 조치를 히야 마땅하지만 여전히 학교 이미지 하락을 막기 위한 가해 교사와 가해 학생을 옹호한 학교 측의 태도도 상처받은 학생들이 존재한다.

"우리가 지켜 줄게. 혼자서는 못하지만 우리가 되어, 너를 지켜 줄게."

작은 개인이 감당하기에는 힘든 일도 주위의 격려와 위로가 더해진다면 분명 밝은 미래로 이어질 것이다. 아직은 사회에 만연해 있는 잘못된 인식과 제도로 인해 긴 싸움이 될지도 모르지만 성차별과 폭력에 대해 용기 있는 한 걸음은 <꼬리와 파도>에서 보여준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작은 한 걸음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