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드러지는 봉황의 색채
이윤하 지음, 조호근 옮김 / 허블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세기 전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을 때 한국의 독립은 불가능하게 보였다. 일본은 청일전쟁에서도 승리하고, 러일전쟁으로 러시아를 몰아냈으며, 영일동맹으로 영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고 가쓰라 태프트 협정으로 미국이 필리핀을 차지하는 대신 일본이 한국을 차지한 다는 밀약을 맺었다. 현실적으로 한국의 독립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그런 불가능한 일을 가능으로 바꾼 기적을 만들어 내며 독립을 이루게 되었다.

 

 

"테세라오 트세난

화국 이름이 아니라 라잔 이름이었다."

 

최근 [파친코]의 이민진, [사라진 소녀들의 숲]의 허주은, [작은 땅의 야수들]의 김주혜 같이 타국에서 한국문학을 널리 알리려 노력하는 작가들이 인기다. 하지만 이윤하 작가의 [흐드러지는 봉황의 색채]는 그녀들의 소설들과는 다른 특별함이 있다. 그것은 SF라는 장르 위에 한국 독립이라는 시대상을 심은 특별한 소설이라는 점이다. 한국 독립운동을 다룬 수많은 소설들이 있지만 SF라는 장르 위에 그려진 소설은 드물다. 내가 알고 있기로는 두 작품이 전부인데, 하나는 복거일 작가의 [비명을 찾아서](장동건 주연 영화 '로스트 메모리즈'), 그리고 이윤하 작가의 [흐드러지는 봉황의 색채]이다.

일제강점기를 모티브로 한 이 소설은 화국(조선)과 라잔(일본)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라잔의 지배를 받고 있는 화국민 제비는 화가로 일하기 위해 라잔의 화가 채용 시험에 응시한다. 하지만 응시에 떨어지게 되고 응시를 위해 라잔국 언어로 개명한 것을 언니 봉숭아에게 들키게 되고 그녀와 다툰 제비는 집을 나오게 된다. 집을 나온 제비는 그의 친구 학에게 이런저런 도움을 받게 되고 호기심에 들어간 방위성에서 장관 대리 하판덴에게 같이 일해 줬으면 하고 권유하게 되는데 하판덴은 언니 봉숭아가 반란군과 연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같이 일하게 된다면 그 사실도 모른척해준다는 것이었다. 어쩔 수 없이 방위성에서 일하게 된 제비는 자동 기계 용 '아라지'를 다루는 문양을 연구하는 일을 하게 되고 문양을 통해 전쟁 도구로 사용될 아라지와 문양으로 소통해 구속되어 있는 아라지를 구출할 계획을 세우게 된다.

이 책을 접했을 때 살짝 당황했던 것은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여성이라는 점이었다. 제비의 언니 봉숭아의 아내라고 표현된 초반 부분을 한참이나 바라보고 있었는데 화국과 라잔의 세계관은 성별 구분의 의미 없는 동성과의 사랑 주를 이룬다. 주인공인 제비도 그의 감시자이지만 연인이 되어 버린 베이와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이윤하 작가가 살고 있는 미국의 정서 때문인지 아니면 이윤하 작가의 이상향을 표현하고 싶었던 것인지는 모르지만 솔직히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세계관이었다.

주인공 제비를 떠올리면 채만식 작가를 떠오른다. 일제 말기 채만식 작가는 어쩔 수 없이 친일 문인의 대열에 끼어야 했다. 불온 독서회를 배후 조종했다는 협의로 경찰서에 붙들려 갔다가 풀려난 일이 있었다. 그때 그를 구해준 것은 친일 문인 단체인 '조선문인협회'라는 데서 날아온 엽서 한 장이이었는데 이것이 빌미가 되어 친일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한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민족의 죄인]과 같은 작품을 통해 이 시기의 자신을 비판하고 반성했다.

[흐드러지는 봉황의 색채]는 일제강점기에서 상처받았던 또 다른 측면의 사실성이 깃들여 있는 특별한 소설이며, 이것은 국적은 달라도 한국인은 조국의 상처와 아픔을 마음 한곳에 담아두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는 소설이었다. 이윤하 작가의 소설에는 가슴에 와닿는 한국인의 정서가 있고, 조금 서툴지만 피부에 와닿는 한국인의 언어가 있다. 그녀의 언어는 언어라고 하기보다는 목소리라고 하는 것이 옳으며 그 목소리는 단순한 세태의 재현이 아닌 더 창조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