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모를 것이다 정보라 환상문학 단편선 1
정보라 지음 / 퍼플레인(갈매나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현실적인 일이 일어난다면

정말로 일이 그렇게 일어난 것이다.

소설에서는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섬뜩하고 신비한 느낌의 괴담과 기담을 즐겨 읽는 편이다. 당연히 란포와 애드거 앨런 포의 단편을 좋아하고 비슷한 분위기의 단편을 창작하는 작가의 작품은 빼먹지 않고 읽어왔다. 2022년 <저주토끼>가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오르면서 일약 스타 작가가 되어버린 정보라 작가의 이번 단편집<아무도 모를 것이다>의 출간 소식을 들었고 기쁘게 그녀의 소설을 접하게 되었다.

정도경이라는 필명으로 오랫동안 활동해온 그녀를 모르는 대부분의 독자들을 위한, 그녀의 오랜 팬으로서 그녀 작품에 목말라한 독자들의 작은 선물 같은 이번 단편집은 9편의 초기 발표작과 1편의 미발표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무> <머리카락> <가면> <금> 등의 이번 단편에서 느껴졌던 감정은 인간의 허황된 욕망과 쾌락의 끝, 호기심, 복수, 시기, 살인 본능 등의 어쩌면 인간의 원초적 죄악에 기반을 둔 단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원인 불명의 환상적 세계 속에 인물이 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운명을 파국으로 몰아가는 인물들의 이글거리는 욕망이 세계를 잠시 덮는 거대한 환상의 장막을 만들어낸다.

얼룩에서 나온 기이한 여인과의 정사로 쾌락에 중독된 인간을 표현한 <가면>, 물과 비슷한 미지의 생명체를 무기화하려는 인간들의 욕망을 보여준 <물>을 비롯하여 단편집의 제목이 되는 <Nessun sapra>가 눈길을 끌었다. 특히 소설 후반부에 위치해 끝까지 읽어야 표제의 의미를 알 수 있는 <Nessun sapra>가 흥미롭게 다가왔다. 전쟁으로 도시가 봉쇄되고 정신 병동의 간호사가 자신이 돌보고 있던 천재 작가의 시체를 먹는 내용으로 최진영 작가의 '구의 증명'을 생각나게 하는 소설이었다. 물론 전혀 다른 내용이지만 시체를 먹음으로써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는 자체가 자극적으로 다가왔다.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의 쓸쓸함을 이어받은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작가가 의도하든 하지 않았든 작품 곳곳에서 느껴지는 애잔하면서 안쓰러운 시선은 오래된 동화나 고전에서 느껴지는 진한 여운을 남긴다. 헛되며 끝없이 욕망하는 자들이 남겨둔 인간으로서의 존재감은 작가의 세계를 대변하는 이미지로 읽히지 않는가. 희미하게 남겨진 이 존재감들은 욕망의 본질의 보잘것없음과 패배할 수밖에 없는 삶에 대해 냉혹한 듯하다가도 그럼에도 '인간'일 수밖에 없는 존재의 아름다움에 대해 말없이 이야기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