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미암일기 1567-1577
정창권 지음 / 사계절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부인이 우물가에서 빨래를 하다가 동네 아낙들의 핀잔을 들었다. 학문이 높으면 뭘 하냐느니 그렇게 학식이 풍부하고 근엄하면 무슨 재미가 있겠냐느니 하며 말이다. 묵묵히 빨래하던 공자의 부인은 다 끝내고 일어서면서 한마디 툭 던졌다고 한다. "밤에도 공자인가?"
 
사극에서 보여지는 조선시대는 거의 대부분 정치나 전쟁에 관한 모습을 다루고 있다. 그래서 간혹 "조선시대 역사 = 정치사 내지는 전쟁사"로 인식해도 무방할 만큼 편중되어있다. (비단 조선시대 뿐이겠냐만은) TV가 가지는 속성에서 기인하는 것이긴 하겠지만 사람이 정치를 하는 것도 전쟁을 하는 것도 먹고 살자고 하는 것일 터인데 양반들이 노는 모습이란 기생들이 따라주는 술을 마시면서 한상 그득하게 차려진 음식을 안주로 먹으며 풍악을 울려라 소리치는게 고작이고, 남여가 겸상을 하지않은게 언제부터인지는 차치하고라도 한가족이 둘러앉아 식사를 하거나 소위 말하는 회식을 하는 장면은 눈씻고 찾기 힘들다.
 
그런 사극과는 달리 최근 몇년사이에 출판업계에선 조상들의 생활사를 다룬 책들이 많이 나왔고, 고시에서도 생활사를 묻는 문제가 많이 늘었는데, 이 책은 16세기 양반 유희춘이 쓴 "미암일기"를 바탕으로 16세기 생활사, 특히 (저자가 주장하기로는)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는 여성들의 생활상을 서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남자가 바깥일을, 여자가 집안일을 했다는 식의 두리뭉실한 역사인식을 이 책은 나름대로는 알차게 깨주고 있다. 남자가 받은 월급 분배와 살림장만에 신경쓴다거나 여성들 또한 음식준비, 의복준비 등의 가사일을 하면서 임금행차 구경이나 독서 등 일정한 활동영역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 등등은 제법 신선하게 들린다. 기생에 대한 처우를 두고 부부싸움을 하는 것이나 아들 내외에게 생일상을 받는 것 등도 여자의 시기질투를 극단적으로 그려내거나 부모의 은혜와 자녀들의 효심을 극적으로 묘사하지는 않았다. 그저 있는 그대로 밋밋하게 서술할뿐. 실제 그렇게 살았다고 하니 그때나 지금이나 따지고 들어가면 사는건 다 마찬가지가 아닌가 싶다.
 
허나 제법 호기심있게 들여다보던 초반부에 비해 갈수록 일기를 바탕으로 소설처럼 재구성한 부분은 낯설게 느껴지고 어색하기만 하다. 생활사에 대한 해설에 뒤이어 나오는 소설은 해설부분의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다는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된다. 결국 조선시대에도 양반들은 남녀를 막론하고 지금 인간들처럼 아옹다옹하며 살았다는 어쩌면 뻔한 결론탓도 있으리라.
 
그 뻔한 결론과 무미건조한 생활사치고는 제목인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는 지나치게 멋있는 것 같다. 제목만은 제대로 건졌다고 하면 위안이 될려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