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공문서 - 일제시기 기록관리와 식민지배
박성진.이승일 지음 / 역사비평사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모든 기록물과 기록이 생산되는 과정은 그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사회를 알고자 할 때 그 사회가 생산해낸 기록물을 살펴보고 그 기록물이 생산된 프로세스를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더욱이 그것이 근대 국민국가에 있어서 유일한 절대 권력으로 자리하는 국가가 관련된 기록물일 경우 그 중요성은 더욱 배가된다.

한국사에 있어 일제강점기는 생각하기 싫은 과거이다. 그렇기에 그 시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오히려 필수적이다. 역사라는 학문이 과거의 잘못을 통해 현재의 방향을 바로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할 때 일제강점기는 한국사의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중의 하나가 된다. 인정하기 싫지만 한국은 일본을 통해 근대화되었다. 근대화라는 것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국가권력의 작용이 제정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과정이 철저히 문서로 남는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제시기 조선의 중앙행정기관이었던 조선총독부의 공문서는 그 당시 조선의 식민 지배 정책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사료이다. 동시에 기록관리의 역사라는 측면에서 보더라도 조선총독부가 시행했던 기록관리 정책은 최초의 근대적 기록관리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역사학에서는 그동안 조선총독부의 기록물을 내용을 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기록물은 담고 있는 내용의 중요성과 함께 그 기록물이 생성된 과정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있다. 조선총독부가 일본 본국과 제령 등의 법률 제정을 위해 논의한 기록의 생성을 살펴보면 그 당시 식민지 지배에 있어 조선총독부와 본국의 관계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록물을 생산한 단위 과의 업무분장 등을 통해 일본이라는 근대적인 식민권력이 어떻게 조선이라는 식민지를 통치했는지를 파악 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물은 역사학에 있어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의 조선 기록물 수집정책에 있어서도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총독부는 조선에 일본의 제도와 흡사한 기록물 관리, 수집 정책을 수립하였다. 현대 기록학에 있어서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의 중요한 목적은 국가의 행정작용에 대한 정보공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제시기에 있어서 이러한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기록물의 관리는 행정과 식민지배의 효율의 위해서만 이루어졌다. 대한제국이 생산한 기록물을 관리하고 민간의 기록물을 수집하여 만든 조선사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식민사관의 확립을 위해 저술된 것이었다. 식민지배의 영향은 기록물에 있어서도 확연히 드러났으며 기록물은 식민지 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중의 하나로 활용되었다.

조선총독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현대적인 평가는 지금 왜 조선총독부의 기록물이 조금 밖에 남아있지 않는가라는 질문에 실마리를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통해 일제시기 식민지 권력이 어떤 식으로 기록물을 관리했으며 그것이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었는지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조선총독부의 기록물을 어떤 식으로 수집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책의 머리말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조선총독부의 공문서라는 텍스트를 통해 역사학과 기록학이라는 학문의 만남을 주선하고 있다. 앞으로의 역사는 아키비스트가 선별해 남기는 기록물을 통한 역사학자의 연구라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아키비스트는 단순히 기록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아니라 역사학자와 함께 역사를 만드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기록 없는 역사연구는 불가능 하며 역사의식 없는 기록물 관리는 불가능한 이유이다.

이 책은 역사의 주체로서의 역사학과 기록학의 경계를 적극적으로 횡단함으로서 양쪽 분야에서 모두 상당히 커다란 학문적 성과를 내고 있다. 앞으로도 이런 종류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