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을 말하다
장 지글러 지음, 이현웅 옮김 / 갈라파고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엔을 말하다><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의 저자 유엔 특별식량조사관 출신의 저자 장 지글러의 유엔과 자신의 인생에 대해 적은 책이다.

 

세계 1차 대전이 끝나고 국제 평화질서를 위해 국제연맹이 설립되었지만 그 초기부터 가졌던 한계 물리적 강제력이 없었다 - 를 가졌었고, 이 후 설비된 국제연합에서는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비책을 강구하였지만, 역시 강대국과 독점자본이 지배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활동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신자유주의 경제가 기승을 부리고, 강대국의 비위만 맞추던 지난 사무총장 시절 더욱 역할을 못하고 있어, 유엔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바라는 마음으로 쓴 책이라 생각한다.

 

이 책의 상당 부분은 왜 유엔이 자기 역할을 못했는가에 대해 지면을 쓰고 있다. 소위 강대국이나 독점 자본주의 기업들의 횡포 때문인데, 서구열강의 민낯을 이처럼 철저하게 밝히는 책은 처음인 듯 하다. 개인적으로 식민지 시대가 끝나고 인류가 어느 정도는 이성적이 되었다고 생각하였지만, 이 책을 읽으니 서구열강은 식민지 확보를 위해 전쟁을 일으키고 아시아, 아프리카를 침략한 시절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보아야할 것 같다. 현재 우리나라도 론스타나 GM같은 회사들의 먹튀 논란이 끊이지 않는데, 이 책에서 언급한 벌처펀드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벌처펀드로 표현된 자본주의가 유엔이 제 역할을 못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라면 나머지 한 축은 미국과 이스라엘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다른 나라, 다른 민족의 삶은 어찌되어도 상관없이 전쟁을 일으키고 독재자를 지원하는 태도로 수많은 나라의 사람이 고통 받는 모습을 고발하고 있다. 특히 키신저나 이스라엘의 장관들을 전쟁범죄자로 고발하고 있다.

 

최근의 무능한 사무총장 이전 유엔이 자신의 설립 취지에 맞는 역할을 한 역사도 조명하는데, 유럽의 군 출신을 용병으로 이용하는 세력에 대항하는 유엔 부대의 주 구성원들이 약소국 출신이 대부분이라는 서글픈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유엔의 부끄러운 역사와 더불어 벌처펀드나 미국 이스라엘에 항거하고 유엔이 제 역할하기 위한 저자의 노력과 고초 등이 소개되는데, 저자와 함께 언급되는 세계 곳곳의 용기있고 지성적인 인물들을 알게 되는 것이 이 책을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이다. 이런 인물들이 있다는 사실이 그나마 인류가 이성적이고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처음에는 엄청난 혼돈을 일으키지만, 국제사회 자체에 대해 알게 되는 것도 많고 인류 또는 인간 자체에 대하여 그리고 정의에 대하여 다시 생각할 기회를 주는 것이 이 책의 진짜 장점인 듯하다.

 

최근 남북한 간 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고 대한민국을 새롭게 일으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지난 세월 전략무기를 생산하고 냉전 분위기를 꾸준히 이용하며 자신의 이익을 취하던 국내외세력들이 과연 가만히 있을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정말로 신중하고 현명한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하고, 국제사회의 진짜모습을 알기 위해서도 이 책이 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