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
안재성 지음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읽었던 태백산맥 전집이나 영화 남부군을 떠올리는 작품이었다. 더욱이 책 마지막에 있는 작가의 말까지 읽고 나면 이 책에 쓰여진 이야기가 실제로 일어나고, 등장하는 인물들이 모두 이 땅에서 숨 쉬고 살아가면서 겪고 아파했던 사연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무척 큰 울림을 듣게 된다.

 

<아무도 기억하지 않았다>의 주인공 정찬우는 그야말로 분단과 이데올레기의 희생자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국의 독립과 학문을 추구하기 위해 만주로 갔다가 광복군에 투신하고, 자신이 속한 부대와 함께 북한으로 가서 김일성 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하였을 뿐,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에 대한 강한 믿음은 없는 사람이었다. 625가 발발하면서 교육위원의 신분으로 전쟁에 참가하지만, 전투에는 일체 참가하지 않고 역사관련 교육을 몇 번 하고나서는 전세가 역전되어 계속해서 쫒기는 신세가 될 뿐이었다.

 

사회주의에 대한 신념이나 북한에 대한 충성심이 크지 않았지만 투항하지 않고 도망다니다가 체포되어 교도소 생활을 하는 것이 주된 줄거리이다. 지성적이면서 온화한 사람이기에 그를 흠모하는 여성들도 많았지만 사랑이 결실을 이룬 적은 없었고, 계속되는 전쟁의 포화 속에서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보면서 슬퍼하기만 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무척 안타까왔다.

 

자신이 속한 북한의 사상체계나 정치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 없이 전쟁 속에서 이리저리 쫒기고 도망다니면서 고통받는 나약한 지식인의 모습이 무척 안타까왔다. 시대를 잘 타고 태어나거나, 일제강점기에 우리 조국을 침략한 일제에 당당히 투쟁하였다면 이 책에 나온 그가 은 수많은 갈등은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주인공은 이데올로기의 희생자이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룬 주인공의 가장 주된 적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정체를 꾸준히 숨기고 바뀌면서 다른사람들을 괴롭히는 기회주의자들이다. 전쟁 시는 북한 부대 패잔병들 사이에서, 체포된 이후에는 포로들 사이에서, 그리고 구치소 안에서 발생했던 주인공을 비롯한 다른 평범하고 착한 사람들을 괴롭히는 기회주의자들의 모습이 독자들을 가장 분노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사실 우리나라, 우리민족이 고쳐야 할 가장 큰 문제점은 이러한 기회주의자들을 처단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친일파의 모습으로, 현재의 대한민국에는 자칭 보수라는 이름으로 어떠한 원리원칙없이 자신의 영달만을 위해 사는 이러한 자들이 우리 땅에서 발붙이지 못하게 할 때 우리나라는 제대로 된 나라로서 한 계단 올라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진행될지 모르지만 동계올림픽을 기회로 남북한이 교류하기 시작하고 정상회담에 대해 협의되는 등 몇 십 년 만에 좋은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듯하다. 이 책이 남북한 동포 간의 시각 차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가능하면 <남부군>같이 영화로도 제작된다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