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다 양자역학 때문이야
제레미 해리스 지음, 박병철 옮김 / 문학수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책 표지를 고 양자역학을 유머스러운 필치로 설명하는 책으로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는데, 중반부터는 양자역학의 붕괴(슈뢰딩거의 고양이) 개념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해 논하는 내용으로 바뀌었고, 이 해석에 따라 달라지는 세계관, 인식론 또는 철학까지 이야기하고 있다.

 

양자역학이 어렵지만 중요한 특징을 받아들이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책이 교양과학 서적들이 양자역학을 다루는 방법인 것이었는데, 이와는 다른 이야기를 하니 처음에는 새로운 느낌과 함께 흥미를 느꼈지만 계속되는 세계관, 철학 이야기 등이 반복될수록 어려운 느낌이 들었다. 양자역학이 어려운 이유가 현실세계에서 접하는 부분과 다른 현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과 이에 대해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이니 이 책은 양자역학에서 가장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다루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행히 책의 분위기는 유머스럽고 재미있어 책이 다루는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양자역학을 해석하는 방법은 보어의 붕괴 이론, 고스와미의 우주의식, 그냥붕괴이론, 애버릿의 다중우주가설, 데이비드 봄의 유도파동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는 다중우주가설이 가장 인기있는 것 같다. (소설이나 영화의 소재로 많이 쓰인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책에서 다루는 해석방법들 모두 완벽하지 않은 것 같고, 미래에 좀 더 나은 해석방법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싱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대상은 전자 정도 크기의 매우 작은 세상인데 이를 현실에서 접하는 크기의 사물에 적용하여 혼란을 일으킨다고 생각하여 이 책에서 다루는 논쟁이 그다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과학에서 출발한 세계관에 대한 논쟁이 끝나지 않고 있고, 그 내용을 보면 생각보다 무척 어렵다는 것을 다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