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랜드 엘레지
아야드 악타르 지음, 민승남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책 날개에는 트럼프 이후의 미국을 다루었다고 해서 트럼프가 당선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정말 짧은 시간 동안 시대의 변화를 예측하는 작품을 써 내었구나 예상하며 책을 읽었는데 현시대의 특성을 다루었다는 데서 아주 틀리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과장된 광고였던 것 같고, 굳이 이런 홍보를 할 필요가 있었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홈랜드 엘레지는 파키스탄 출신의 이민자 2세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트럼프 시대의 서막을 알린 힐빌리의 노래와 함께 이 시대의 특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책의 내용은 우리나라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을 만한 미국이란 나라에서 피부색이 다른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힘겨움을 다룬 책이라 할 수 있다. 미국에 사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기독교와 연관을 맺고 살기 때문에 이슬람 문화권 출신은 더 힘겨울 것이고, 특히 911 이후 자신들을 보는 미국인들의 시각이 견디기 어려웠을 것 같은데,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이와 더불어 미국을 좋아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저자의 아버지와 미국문화에 정착하지 못하고 평생 자신의 고향을 그리워하는 어머니를 통해 두 문화 속에서 방황하는 저자의 정체성을 잘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공감하는 부분은 미국 경찰에서 차량상태가 좋지 못한 것을 지적받은 후 그의 추천으로 정비업소를 찾아갔더니 그 경찰과 인척이면서 저자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바가지를 씨우는 에피소드였다. 타국에서 살아가는 이방인의 고달픔을 정말 잘 표현한 것 같고 그 이후에 미국의 자본주의에 적응하면서 살아가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완전히 그 사회 안에서 정착하지는 못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다. 즉, 타 문화권에서 살아가는 이방인의 삶은 잘 묘사되었지만, 저자의 아버지와 트럼프와의 인연에 대한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특별하게 트럼프 시대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오지는 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