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가능성의 우주들 - 다중우주의 비밀을 양자역학으로 파헤치다
로라 머시니-호턴 지음, 박초월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바니아 출신 과학자 로라 머시니-호텬의 자전적 에세이와 함께 자신이 주창한 다중우주에 대한 개념이 소개된 책이다. 어려운 물리학적 이론이나 계산 등은 생략하고 비교적 쉬운 언어로 설명하여 듯별한 물리학적 지식이 많지 않아도 읽을 수 있지만, 언젠가는 좀 더 이론적 설명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저자의 다중우주론 이외에도 이 이론을 이끈 양자역학 개념에 대한 설명이 좋아서 좀 더 양자역학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양자역학 문헌을 읽다 보면 거의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불확정성 원리의 이유를 입자와 파동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양자세계의 존재 방식으로 저자는 설명하고 있는데, 예전에 접한 다른 설명보다 이해하기 좋은 것 같았다.

 

개인적으로 현대 물리에서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빅뱅에 이은 인플레이션 이론은 정확히는 잘 모르지만 뭔가 임기응변으로 맞췄다는 인상이 있어 그리 좋아하지 않는데, 책 속의 저자의 설명처럼 엔트로피 등을 따져보면 그런 식으로 우주가 시작될 확률이 매우 낮다는 약점이 있어 저자는 새로운 우주의 기원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다중우주 속에서 양자 얽힘이 없어지면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면서 우주가 발달되었다는 가정을 하게 되었는데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 모르겠다), 이에 대한 증거로 우주배경복사에서 균일성이 사라지는 부분이 있는 것을 들고 있고, 이 경우는 발생확률이 높게 된다고 한다.

 

내용이 어려워서 완전히 이해했다고는 하기 어렵지만 기존의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신빙성이 더 있어 보인다. 저자의 다중우주 개념 이외에도 다른 방식의 다중우주에 대한 추론을 하는 학자들도 많다고 하니 관련된 책도 읽어보고자 한다. 저자의 다중우주의 개념을 제외하더라도, 저자의 양자역학에 대한 기초 개념에 대한 설명이나 어려운 환경을 뚫고 자신의 꿈을 추구하던 자전적 에세이도 훈훈한 감동을 주는 흥미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