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속의 꿈 - 에드거 앨런 포 시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공진호 옮김, 황인찬 해설 / 아티초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우의 작품은 어린 시절 추리소설을 좋아했기에 추리소설 속 탐정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오귀스트 뒤팽이 등장하는 작품을 비롯하여 검은 고양이 등을 당시 접한 바 있지만, 그의 시를 본격적으로 감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론 애너밸 리같은 유명한 작품은 다양한 경로로 접하기는 하였지만 그 의미만 파악하는 정도였다.

 

우선 책을 일단 한 번 읽은 후, 책의 후반에 포우의 시에 등장하는 인물에 해당하는 실제 인물들의 이력과 포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시 시를 보게 되니 시 속의 감정들이 더욱 애절하게 느껴지고 포우의 마음을 더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원작이 영시라서 한국어로 번역된 시에서는 사라진 각운에서 오는 운율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인터넷을 통해 영시 원본을 찾아보기도 했는데. 그 운율보다는 포우의 개인사 속 사연으로부터 오는 울림이 시의 운율보다 훨씬 더 강한 것 같았다. 번역자의 글을 통해 까마귀에서 운율을 위해 nevermore라는 단어를 영영이라고 표현하셨다는 글을 보기도 했는데, 번역하신 분의 고민을 온전히 알 수는 없지만 번역하는 내내 고민하는 모습이 느껴졌다. 영시와는 다른 운율을 만들어내는 한글 특성상 느낌이 같을 수는 없지만 영영보다는 영~~같은 표기법을 사용하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운율보다는 포우의 감정을 느끼는 것이 포우의 시를 감상하는 데는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폭력을 당한 후유증으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었고, 그가 사랑한 주위 인물들도 하나같이 모두 일찍 세상을 뜨는 등 그의 생애가 매우 비극적이라는 것을 알고 시를 읽으니 시의 의미, 특히 시 속에 담겨 있는 그의 절망과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까마귀에서는 그의 사랑은 세상을 떠났어도 자신의 사랑은 영원할 것이라는 단어 영영이 주는 강한 울림을 느낄 수 있었다. ‘어머니애니의 경우도 그의 삶의 궤적를 알고 나니 그의 고모님에 대한 사랑과 감사, 사랑을 잃고 난 후 살아갈 힘조차 없는 그의 심정을 느낄 수 있었는데, 그의 작품을 제대로 감상하기 해서는 반드시 그의 생애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