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 눈을 심어라 - 눈멂의 역사에 관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
M. 리오나 고댕 지음, 오숙은 옮김 / 반비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각 장애자 작가가 일상과 문학, 인문학에서 발견되는 시각 장애에 대한 편견에 대한 생각을 담은 책이다. 상당히 많은 분량의 문학과 인문학을 다루었지만 책 전체를 통해 이야기하는 메세지는 일관성있게 같은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근시에다 나이가 들어 노안이 오면 시각에 대해 불편한 점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시각 장애에 대해 상당한 편견을 가지고 있음을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시각이 인류가 세상을 접하는 여러감각 중에서 가장 직접적이면서 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있어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하고 교육이나 지식 등을 충분히 얻을 수 없어 일하는 능력에도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저자는 어린 시절에는 완전한 시각장애자가 아니었다가 완전히 실명한 경우가 되어 처음부터 시각장애를 가진 분들보다 자신의 다른 감각을 키우지 못하고 시각에 대한 감각이 기억이 남아있는 상태라서 다른 사람보다 비장애인들의 편견에 더 민감한 것 처럼 느껴졌다. 인문학이나 문학에서 언급되는 시각장애인들은 다른 감각에 초연한 실제 존재하는 사람들과 거리가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서 그 이미지가 나쁜 것이 아닐지라도 시각장애에 대한 편견을 가지게 되는데 기여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점자를 만든 루이 브라유와 연관 이야기가 이 책에서 인상적이었는데, 현대문명의 도움을 받아 글을 쓰거나 책을 읽는데 많은 도움을 얻고 있다는 내용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장애를 반드시 도움을 얻어야만 하는 대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그 나름의 모습에서 완성된 인격체로 대우받기를 바라는 저자의 마음을 느낄 수 있었고, 장애우들을 위한 편의시설이나 제도가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도 제도와 시설을 넘어 이 들을 대하는 태도도 성장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