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제로 에너지 전쟁 - 2050년 탄소 중립을 현실화하는 에너지 대전환의 서막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
정철균.최중혁.정혜원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에 관심이 많고 연관되는 분야에서 일하고 있어 이 분야 책을 꾸준히 보는 편이다. 대부분의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유사하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장미빛 전망으로 가득차 있는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에너지 문제는 바로 정치문제로 이어질 정도로 진영간의 갈등이 첨예한데 비전문가들에게 이를 가이드해주는 책이 없어서 아쉬운 느낌이 많다. (전문가들이 자신의 분야만 잘 알고 전체 분야를 잘 아는 사람은 아주 적어서 나무가 아닌 숲을 설명해줄 작가는 거의 없는 것 같다.)


이 책도 신 재생에너지 분야의 장점이나 미래전망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고 약점이나 졍제적, 기술적 현안에 대한 설명은 없는 편이다. 하지만 각 분야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소개가 많아서 간접적으로나마 이 분야에 대한 진척현황이나 미래전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력계통이나 VPP(가상발전소)에 대한 기술개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에서는 이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자세한 설명을 주는 것이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책에서 보지 못한 이 책에서 처음 발견한 내용으로 V2P기술에 대한 내용이 상당한 지면을 할용하여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전력계통의 불안정이나 전력의 저장을 전지자동차에 포함된 배터리를 활용하여 보완하다는 아이디어인데 분명히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용의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아주 고가의 제품인데 V2P 전챡에 자신의 차량을 제공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가 매우 빨라져서 각 개인이 부단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상당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에 대한 정책적 보완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 책에서 소개되지 않아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기존의 추자와 연관된 에어지 책들에 비해 기술적인 내용도 상당히 소개되어 무척 만족스러웠고, 앞으로는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담은 책도 출간되길 희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