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전선의 사람들 - 후쿠시마 원전 작업자들의 9년간의 재난 복구 기록
가타야마 나쓰코 지음, 이언숙 옮김 / 푸른숲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자력 관련된 일을 한 적도 있고 영드 체르노빌도 매우 흥미롭게 본 적 있어 우리나라에 더 큰 영향을 미친 후쿠시마의 원전사고에 대해 일본은 어떻게 대처했고 남아있는 일은 무엇이고 환경에는 어떤 점이 문제가 되는가 등 궁금한 적이 많아 읽게 된 책이다.


영드 체르노빌에서도 느꼈지만 인류가 감당하기 힘든 엄청난 사건의 수슴을 위해서 국가의 이름으로 많은 사람들의 희생을 치루었는데, 후쿠시마 사고도 마찬가지였다. 누군가는 꼭 해야하는 일이기에 일을 찾아 온 사람들도 있고, 금전적인 보상을 바라고 온 사람들도 있는데, 이 책의 마지막에도 나오지만 일본정부가 러시아보다 희생한 사람들에 대해 보상이나 보호 등을 충분히 해주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좀 더 긴 시간의 작업을 위해 선량계를 떼고 작업하는 등의 편법이나 허용 가능한 방사능 량을 점차 올렸고, 암이나 백혈병 등이 발병했을 경우도 연관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핑계로 보상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후쿠시마 사고에 대한 피해에 대해 일본 정부가 발표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인용하는 것은 원자력발전소의 피해를 축소하는 것이라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원전사고의 뒷처리를 위해서는 노심의 핵연료를 추출하여 안전하게 보관하고, 데브리라 불리는 용융된 핵연료(노심) 역시 잘 처리해야 하나 이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손도 못 대는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사고지역에서 나온 오염수도 상당 부분 바다로 방류되었고 현재 보관하는 있는 것도 보관용량이 다 차서 방류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책에서 소개된 주변 바다의 물고기 등에서 조사된 방사능 오염 정도가 엄청난 것을 보면 정말 엄청난 재양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에 피해가 되지 않도록 일본 정부가 바른 결정을 하도록 국제사회가 노력하여야겠다는 생각이다.


평소 생각하던 것처럼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사고의 뒤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원자력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원자력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설계부터 건설 및 운영에서 철저한 관리가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