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존 S. 앨런 지음, 이계순 옮김 / 반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에서 살아가기 이전의 인류와 집에서 생활하게 된 인류의 차이를 찾아 인류학적, 징화심리학적, 신경학적 그리고 경제학적 고찰을 하는 책이다. 다양한 분야를 파헤치면서 저자의 주장이 진행되기에 조금 복잡하기도 하지만 자신도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재미가 있다. 

자연환경의 변화에서 우리 신체를 보호하고 편안하게 쉴 수 있다는 집의 역할이외에도 오랜 세월 동안 집에서 음식을 먹고 잠을 자고 가족과 대화하는 과정이 우리의 유전자에 남게 되면서 집 자체가 인류의 다양한 심적, 육체적인 문제점을 고쳐주는 플라시보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무척 인상 깊었다. 이 주장이 무척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되었는데 이로부터 경제적 불평등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노숙 등 주거가 불완전해지면 위에서 언급한 플라시보 효과( 치유효과)가 사라져서 또 다른 문제가 인류에게 발생하게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어 주택문제, 부동산 문제가 기존에 알고 있던 것보다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다른 동물에 비해 월등하게 안전한 곳에서 살아가고 잠을 자게 되면서 생활양식 만이 아니라 잠을 자는 방식 등이 변하고 그 결과가 인류의 유전자에 남아있기에, 주거가 불안해진다면 건강에 치면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정체성에도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지적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저자의 주장에 공감하여 집값안정, 부동산 대책만이 아닌 진정한 생존권의 문제로서 주택 문제를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길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